지도부 전대 룰 개정 본격화
안철수 "골목대장 뽑나"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가 '당원들의 투표' 만으로 선출될 예정이다.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9일 논란 끝에 '당원투표 100% 반영'의 당헌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하면서다. 

집권여당은 20일 상임 전국위원회와 23일 전국위원회 등을 거쳐 당헌 개정 작업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비대위는 과반 득표자가 없을 시 '결선 투표제'를 실시해 대표의 정당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을 내놨지만, 비윤계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에서 100% 당원 선거인단 투표로 당 지도부를 선출하기로 비대위 의견을 만장일치로 모았다. 또 당원의 총의 확인과 당 대표의 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해 결선 투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당헌 개정안에 담았다"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각종 당 내 경선 여론조사는 국민의힘 지지자와 지지 정당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도록 하겠다. 이른바 역선택 방지 조항"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내후년 총선을 위해 당이 한마음이 돼야 하고, 정당 민주주의가 중요하다는 것이 비대위의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이념과 철학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정당의 당대표는 당원이 뽑아야 한다는 점 △책임당원이 80만명에 육박하고, 지역과 세대별 당원 구성 또한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이번 당헌 개정의 근거로 들었다.

이에 따라 당원 투표 70%, 여론조사 30%를 반영하는 현행 방식은 당헌 개정을 통해 당원 100% 투표로 바뀐다. 특히 2004년 도입된 국민 여론조사 방식이 18년 만에 아예 배제된다. 비대위도 부정적 논란을 의식한 듯, 결선투표제 도입을 통해 '정당성'을 보완토록 했다.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해 다수 득표자가 당 대표로 선출되는 것이다.

비윤계인 허은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인 것 같다. 유권자 4400만명 시대 30%대 당 지지율을 생각하면 적어도 1000만명 이상의 당원이 가입해야 명실상부한 국민 정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가고자 하는 것을 저는 분명하게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김웅 의원 또한 SNS를 통해 "2024년 4월에 또 이럴 건가. 그때 국민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읍소한들 한번 배신당한 국민이 돌아올까"라며 당헌 개정안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당권주자들 중 김기현, 권성동 의원 등 친윤계 주자들은 '당원투표 비율 상향'에 찬성한 반면, 비윤계 유승민 의원과 친윤 색채가 옅은 안철수 의원은 현행 방식 유지를 주장해 왔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영일의 시사본부’에 출연해 ‘당원 투표 100%’로 ‘전대 룰’이 개정되면 오는 2024년 4월 총선에서 패배할 우려를 표하며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우려 때문에 (당원 100%에 반대한다는)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룰 개정이 예견된 결과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상대적으로 유승민 의원이 당대표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게 나오니까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이라며 "결국은 각 계파가 누군가 한 명으로 후보 단일화를 하면 양자구도로 좁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결선 투표에서는 1%p가 아쉬울 수 있어 막판까지 치열한 합종연횡 수 싸움이 벌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