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애도→현황파악→원인규명→책임자 순"
1일 국회 행안위 업무보고로 초당적 협력할까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가 여야의 정쟁을 멈췄다. 사고 직후 여야는 검찰 수사로 촉발된 강대강 대치를 접어두고, 국가애도기간 동안 추모와 후속 대책 마련에 협력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하지만 정치권의 이같은 '휴전'이 지속될 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론의 원인 규명 목소리가 커질수록 해당 참사가 벌어지기까지의 정부 역할과 책임론도 함께 나오고 있어서다.
민주당 지도부는 정치 활동을 자제하고 여당과 협력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지만, 31일 발언 내용들을 보면 책임론을 두고 정쟁의 기류가 감지되는 모습이다.
먼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관련자에 관해 비판 수위를 올리고 있다. 사건 당일 수습에 초점을 맞췄던 당일과는 사뭇 달라진 셈이다.
이재명 대표는 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당국은 '나는 책임없다' '할 만큼 했다'는 태도로 국민을 분노케 하는 게 아니라 낮은 자세로 '모든 것이 나의 책임'이라는 자세로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해주시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전날 경찰과 소방을 배치한다고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취지로 말한 이 장관을 겨냥한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향후 당의 대응과 관련해 본지와 통화에서 "애도와 위로, 현황 파악, 원인 규명, 책임자 추궁 순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에선 책임을 묻는 당사자로 이 장관과 오세훈 시장, 박희영 용산구청장을 꼽고 있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많은 언론과 국민이 문제를 제기하고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책임을 묻고 있는 상황에서 (이 장관 발언은) 정말 귀를 의심하게 하는 발언"이라고 말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서울시는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았고 오 시장은 외유 중이었다"고 지적했다.
다만 민주당도 자칫 이태원 참사를 정쟁에 이용한다는 비판을 우려해 속도 조절을 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진상규명도 해야겠지만, 절차를 밟아가야 할 것"이라며 "여론의 요구보다 너무 앞서가면 정쟁으로 보여 역풍이 불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국회 차원의 '초당적 협력'은 오는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이 장관과 경찰, 소방 등 책임자를 불러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업무 보고를 받는 것으로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이태원 인파 예년 수준" 이상민에···김종혁 "적절 발언 아냐"
- 지난해 치안 경찰 4600명 투입된 핼러윈 방치···尹 책임론 직면
- 울음바다 된 서울 전역이 장례식장···사망자 10명 신원 미확인
- 무분별한 이태원 참사 게시글 유포, 자제 당부에도 기승
- [현장] "통솔 2명이면 해결됐을 일"···예견된 상황 막지 못했다
- '이태원 참사 책임 외면' 경찰지휘부, 일선에 책임전가?
- 野,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추진···책임 문책 본격화
- 남영희가 공유한 ‘尹 출퇴근’ 영상···허위 밝혀지니 “네티즌이 한 것”
- '이태원 참사' 행안위에···'논란 3인방' 이상민·윤희근·박희영 출석
- 野 "희생자 명단·사진, 모든 수단 동원해 확보"···與 "잔혹한 정치"
- 정진석 "이재명, 대북 송금 스캔들의 핵···전모 밝혀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