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희의 사각세상]
文 "군 통수권 책무 다할 것"
尹 "취임 후 통의동 근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두고 신구 권력 간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 안보 우려를 이유로 용산 이전에 제동을 건 데 이어 22일에는 군 통수권자로서 현직 대통령의 권한을 강조하며 연일 충돌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정에는 작은 공백도 있을 수 없다. 특히 국가안보와 국민경제, 국민안전은 한순간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며 "우리 정부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 헌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국가원수이자 행정수반, 군 통수권자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것을 마지막 사명으로 여기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임기 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우회적으로 반대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기존 청와대 위기관리 시스템 등을 함께 옮겨야 한다.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동의는 필수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군 통수권자로서 마지막까지 책무를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반대한 셈이다.
이에 윤 당선인 측은 “취임 후 두 달간 통의동 근무하겠다”라고 맞섰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2일 용산 집무실이 차려지기 전까지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연수원에 마련된 당선인 집무실에서 윤 당선인이 업무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용산 집무실이 마련되기까지는 1~2달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외부 필진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준희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터 |
관련기사
- [이준희 만평] '풍수 논란' 휩싸인 청와대 집무실 이전
- [이준희 만평] 文-尹 회동, ‘MB사면’ 걸림돌 됐나
- [이준희 만평] 인수위원장 안철수, 행정 무대 첫 발
- ‘밀리면 선거 진다’… 여야, 용산 이전 기싸움 속내
- [현장] 윤석열측 "제왕적 대통령 문제, 역대 대통령 모두 인지"
- [이준희 만평] 서훈 안보실장, 윤석열 당선인에 北 ICBM 브리핑
- [깐팩] 文정부 靑 비서진, 文 퇴임 후에도 남아있다?…사실은
- 文대통령, 윤석열 당선인 회동… "집무실 용산이전 예산 협조"
- [이준희 만평] 文·尹, 대선 후 19일 만의 만찬 회동
- [김현우의 현장] 집회 8만회 몰리나···용리단길 상인 기대반·걱정반
- [이준희 만평] 윤석열 정부 초대 총리에 한덕수 가닥...3일 발표 예정
- '용산 시대' 첫걸음… 집무실 이전비 360억 의결
- '폭탄조끼 입은 윤석열' 정치 풍자 그림 전시회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