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이전 반대여론에 "이해 구하는 과정 챙길 것"
"이전 반대 靑, 별도로 의견준다면 숙지"

청와대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반대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22일 “저희는 일하고 싶다. 일할 수 있게 도와달라”며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의지를 재차 밝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2일 오전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난관을 이유로 꼭 해야 할 개혁을 우회하거나 미래의 국민 부담으로 남겨두진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발언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국민께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전날 청와대 측에서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을 이전하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안보 공백을 우려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던 윤 당선인이 이번 선거에 임할 때 국민이 정권교체를 명하신 것도 이제 제대로 일하라는 국민의 엄중한 바람임을 잘 알고 있다”며 “새 정부는 헌법, 법률에 따라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나라와 국민을 위해 잘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집무실 이전에 우려를 밝힌 청와대와의 소통에 대해 “현 청와대가 통할하는 각 부처에 계신 분들과 이견 조율을 사전에 했다”며 “청와대의 뜻이 무엇인지 저희에게 별도로 전달해주신다면 숙지하겠다”고 답했다.
또 ‘용산 이전이 전 연령대에서 반대가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는 지적에는 “여러 의견 주시는 다양한 경로에서 소중하게 건네주시는 말씀 소중히 새겨듣고 있다”며 “진행 과정에 있어서 소상히 말씀드리는 관계가 있을 때 놓치지 않고 이해를 구할 수 있는 과정을 잊지 않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열려있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김 대변인은 “실무적인 만남의 구체적인 추가 일정이 들어온 것은 없다”며 “그렇지만 늘 열려있으며 굳이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결론을 예단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5월 10일 0시부 청와대 완전 개방’ 약속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미리 방 뺴라’고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우리는 무서운 세입자가 아니다”라면서 “어떻게 주무시는 분을 나가라고 합니까”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 [기자수첩] 윤석열 청와대 용산 이전 4가지 반론
- [성기노 칼럼] 윤석열 당선인이 ‘용산’에 꽂힌 까닭
- 김종대 "윤석열 전세 난민 신세… 靑 자체가 싫은 것"
- 文정권 '몽니'?… 용산 이전 496억 예비비, 국무회의 상정 불발
- [깐팩] "당선자 아닌 당선인이 맞는 표현" 인수위 설명, 사실일까
- [현장] "권력이양 과정서 대통령-당선인 만남 없었던 적 없다"
- ‘밀리면 선거 진다’… 여야, 용산 이전 기싸움 속내
- [현장] 윤석열측, 朴 퇴원에 "빠른 쾌유와 안정 기원"
- 인수위, 기재부와 ‘코로나 이후 재정건전성’ 논의
- [현장] 윤석열측 "제왕적 대통령 문제, 역대 대통령 모두 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