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 개최
학회 "제대로 된 검토와 논의 필요해"
이종성 의원, 1일 치매관리법 개정안 발의
다른 개정안 있었지만, 약 10년 간 '묵묵무답'

지난 1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진행된 국제학술대회(IC-KDA 2021) 로고./ 국제학술대회 홈페이지 캡처
지난 1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진행된 국제학술대회(IC-KDA 2021) 로고./ 국제학술대회 홈페이지 캡처

대한치매학회(치매학회)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치매 병명 개정에 대해 "변경 필요성은 공감한다"면서도 "하지만 제대로 된 검토·논의를 통한 질환 인식 개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1일 치매학회는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대한치매학회 국제학술대회(IC-KDA 2021)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입장을 전했다.

최근 치매 병명 개정에 대한 논의가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치매 병명에 대한 개정 필요성을 언급했고,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은 치매를 인지흐림증으로 개선하는 내용이 담긴 '치매관리법 개정안'을 1일 발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치매학회 측은 "성급한 접근"이라며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애영 치매학회 회장은 "임상에서 환자를 받다보면 치매라는 병명을 내놓기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치매라는 질병명을 외국의 병처럼 순화된 병명으로 바꾸면 병명에 대해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보다 쉽게 얘기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현재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업적 치적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치매병명 변경 법안을 추진하려고 있다"면서 "전문가 입장에서 보면 사회적인 컨센서스를 종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회에서 성급하게 병명을 바꾸는 것은 고민이 필요해보이고, 법안발의로 인해 병명 변경 전에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서 점진적으로 거쳐갈 인식개선 과정을 생략하는 것은 아쉽다"고 주장했다.

박건우 치매학회 이사장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즉각 병명이 바뀌거나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그는 "물론 필요성은 있다. 중앙치매센터에서 1600명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을 때 치매라는 것이 부정적인 명칭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반대로 치매라는 병명을 바꾸면서 생겨날 사회적 비용도 적지않다"고도 언급했다.

추가로 박 이사장은 "지금 국회에서 병명 변경 관련 법안을 발의 준비중인데, 발의까지 해야할 정도인지는 의문이다"면서 "제대로된 검토가 필요하고 각계에 의견을 묻는 과정이 필요하다. 국회에서 법안발의도 너무 성급한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치매병명 개정안 발의./ 국민의힘
치매병명 개정안 발의./ 국민의힘

앞서 치매 용어에 대한 명칭 변경을 위한 노력은 지난 2011년 당시, 성윤환 의원의 '인지장애증'으로의 병명 개정안 발의로 시작됐다. 이후 권미혁·김성원·김두관 의원 등 전·현직 국회의원이 개정안을 냈지만, 여전히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치매(癡呆)의 한자어는 모두 '어리석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일본의 정신 의학자 '쿠레 슈우조'가 서양에서 쓰는 용어인 '디멘시아(Dementia)'를 일본어로 번역한 걸 일제 식민지였던 한국과 대만 등에 이식한 용어여서 일제의 잔재라는 지적도 받았다. 

팩트경제신문은 이같은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10년 넘게 개정되지 못 한 치매 병명 개정을 위해 지난 8월부터 약 한달 간 공모전을 진행했다. 해당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인지흐림증'이란 병명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에게 제출했고, 이 의원은 이달 1일 신속한 병명 개정을 위해 법안을 발의했다. 

이종성 의원은 "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 간질은 뇌전증, 문둥병은 한센병, 정신분열증은 조현병으로 질환명이 변경된 사례가 있는 만큼, 치매도 조속히 병명을 개정해야 한다"라며 "치매 병명 개정을 통해 치매 환자 및 가족들이 겪고 있는 불필요한 고통을 줄이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여서 적극적인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