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5만명이 경단녀
일 그만둔 사유 '육아'

워킹맘·직장맘 (PG) /연합뉴스
워킹맘·직장맘 (PG)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을 겪은 비율이 약 21%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5000명 감소했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21.3%다. 작년보다 1.4%포인트(p) 낮아지며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의미한다.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고 고용률 상승을 여성이 주도하는 흐름, 정부의 육아·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데이터처 관계자는 설명했다.

다만 자녀가 많을수록, 어릴수록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높았다. 자녀 연령별로 경력 단절 여성 규모는 6세 이하에서 46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29만2000명, 13~17세 13만3000명 순이었다.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자녀 6세 이하에서 31.6%로 30%를 웃돌았다. 작년보다는 1.9%p 낮아졌다. 7∼12세는 18.7%, 13∼17세는 11.8%로 각각 나타났다. 자녀 수별로는 자녀 1명일 때 20.2%로 가장 낮고 자녀 2명 22.3%, 3명 이상 23.9%로 높아진다.

자녀와 살지 않거나 자녀가 없는 경우를 포함한 전체 15∼54세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 여성은 110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비율로는 14.9%로 작년보다 1.0%p 떨어지며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낮았다.

그래픽 /연합뉴스
그래픽 /연합뉴스

경력 단절 여성(110만5000명)이 일을 그만둔 사유로는 육아가 49만명으로 전체의 44.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10명 중 4명 꼴이다. 결혼 26만8000명(24.2%), 임신·출산 24만4000명(22.1%) 순으로 뒤를 이었다.

작년보다 임신·출산은 5만3000명 줄었고 결혼(-3만6000명), 육아와 자녀교육(각 -1만명), 가족 돌봄(-2000명) 모두 감소했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7.3%로 작년보다 1.3%p 상승했다.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1.9%p 높아졌다. 자녀 수, 자녀 연령별 격차는 점차 축소되는 흐름이라는 게 데이터처의 설명이다.

자녀 연령별 고용률은 6세 이하에서 57.7%로 1년 전보다 2.1%p 높아졌다. 7∼12세(66.1%)는 1.8%p, 13∼17세(70.4%)는 1.2%p 각각 상승했다. 특히 13∼17세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처음 70%를 넘었다. 자녀 수별로는 자녀 1명과 2명의 고용률이 64.6%로 같아졌다. 3명 이상일 때는 60.6%였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