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고령친화마을' 조성 논의
주거복지·돌봄·의료·여가 연계 필요
노인복지주택 운영 방안 등 간담회

비수도권 지역에 주거복지·돌봄·의료·여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고령친화마을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를 위해 정부의 법적·재정적 지원 확대 요구도 제기됐다.
14일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충남 공주 노인복지주택 '공주원로원'을 방문해 "비수도권 지역은 노인 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커뮤니티 센터, 보행로, 주거시설, 공동 텃밭 등 고령 친화적 인프라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어 '고령친화마을'을 조성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주원로원은 한국장로교복지재단에 소속된 노인복지시설이다. 자립 가능한 어르신이 입주한 실버타운을 중심으로 신체 기능 저하 시 방문요양, 주간보호, 요양원, 치매전담실로 자연스럽게 돌봄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노인복지주택의 우수 사례로 평가된다.
주 부위원장은 "공주원로원은 비수도권에 있는 한계를 오히려 장점으로 바꿔 지역 특성과 연계한 서비스 설계, 커뮤니티형 돌봄과 의료 지원 체계가 자리 잡아 지역사회통합돌봄의 모범 사례"라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공주원로원 운영진과 보건복지부, 공주시청 관계자 등이 참석해 노인복지주택이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확보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과제를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시설 노후화로 인한 시설 보수·장비 보강 지원, 시설 투자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 운영 자율성 확보와 노인복지 프로그램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주 부위원장은 "비수도권에 소재한 노인복지주택에 대해 재정적 지원뿐 아니라 입주자들에 대한 의료·돌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방안도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어르신의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주거복지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위원회가 중심이 돼 고령 친화적 주거복지 모델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이번 현장 방문에서 수렴된 의견을 관계 기관과 검토해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6~2030) 수립 시 반영할 계획이다.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