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수출 과제 ‘산적’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전 사장의 퇴임으로 공석이 된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자리를 채우기 위한 인선 절차가 이르면 이달 본격화될 전망이다. 차기 사장 임명까지는 통상 두 달가량이 소요돼 새 사장은 내년 초 취임이 유력하다.

11일 정부와 원전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이달 하순쯤 임원추천위원회를 꾸리고 차기 사장 공모 절차를 시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공기업 기관장 선임 절차에 따라 공모 공고 후 서류·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후보를 추천하면,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의와 한수원 이사회 의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 대통령 재가를 거쳐 임명이 확정된다.

후보군으로는 박원석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등이 거론된다.

차기 한수원 사장은 국내외 현안을 동시에 떠안게 된다. 우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포함된 신규 원전 건설 문제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설비용량 1.4GW급 대형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가 각각 2035년 이후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이재명 정부가 ‘합리적 에너지 믹스’ 기조를 내세우면서 신규 원전 추진 결정을 사실상 유보한 상태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신규 원전은 한수원이 판단할 사안”이라며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난 9월 기자회견에서 “신규 원전 건설의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한 바 있어, 업계에서는 정부가 사실상 탈원전 기조로 방향을 틀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부지 선정이 추진될 예정이던 신규 원전 건설 절차는 새 사장 취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부정적 기류를 보이는 상황에서 현재의 대행 체제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외적으로는 원전 수출 전략 재정비가 시급하다. 한수원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결했지만, 국내에서는 ‘불공정 합의’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여파로 체코 신규 원전 사업 등 남은 해외 수주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 내 원전 확대 정책이 급물살을 타자, 한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여부도 중요한 결정 과제로 떠올랐다. 한수원은 한전 등과 함께 미국 원전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 불확실성과 국제 경쟁이 동시에 겹친 가운데, 새 한수원 사장은 원전 산업의 향방을 가를 중대한 선택들을 앞두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선이 단순한 자리 교체가 아니라 한국 원자력 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