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2030년 전후 준공돼 장기 운전
박정 의원 “재생에너지 투자 전환해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은 23일 국정감사에서 “발전5사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투자 대신 총 12조원이 넘는 금액을 모두 LNG 발전 설비에 투입한 것은 탄소중립 목표에 역행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발전5사가 의결·추진한 신규 발전 설비 17건 전부가 LNG를 연료로 하는 복합·열병합발전소였다. 같은 기간 태양광·풍력·수소·ESS 등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 투자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이로 인해 발전5사의 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은 평균 5.6%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중부발전과 동서발전은 3%에도 못미치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박 의원은 “발전5사가 정부의 탈석탄 정책에 기대 LNG 발전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인 에너지 전환이 아니라 ‘전환 연료에 머문 퇴행적 투자’”라며 “현재 추진 중인 LNG 발전소는 대부분 2030년 전후 준공 예정으로, 2050년 탄소중립 시점까지 장기간 운전될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탄소 감축인데, 발전5사가 여전히 석탄과 LNG 중심의 발전구조를 고수한다면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은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다”며 “발전5사의 중장기 설비투자계획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재생에너지 설비비중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
관련기사
- 발전공기업 5사, 탄소중립에 역행···신재생에너지 투자 저조
- 한전·자회사 태양광사업, 중국산 설비에 950억원 썼다
- [국감] 권향엽 "정부 지침 종잇조각"···석유공사, 자본 잠식에도 셀프 수당 15억 집행
- [국감] 횡령에 정보 유출, 심지어 불법 촬영까지···'범죄 천국' 국토정보공사
- [국감] 김정관 장관 "산업부 바보 같다···석유공사 '대왕고래' 언론플레이 엄중 대응할 것"
- [국감] '탑승권 부정 사용'에 '여권 도용'까지···박용갑 "공항 보안 법·제도 보완 시급"
- [국감] 카드 적립금 멋대로 챙긴 조폐공사···직원 몫 6000만원은 노조로
- [국감] 여주 물류센터 신축 현장, 6개월 만에 추락사 재발···노동청 감독은 유명무실?
- 환경단체 압박에 탄소중립, 전기료 인상···산업비용 상승도 불가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