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여신업, 민생경제·경쟁력 제고 간담회 개최
카드, 전용결제 계좌 허용·결제 범위 확대 요구
캐피탈, "부수업무 확대와 보험 판매 허용해야"
강민국 "여신업, 서민금융 허브···지원책 고민"

여신금융업계가 지급결제 인프라 개선과 부수업무 확대 등 제도 개선을 요구하며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과 직접 만났다. 현장의 애로사항을 전달받은 여당은 여신업권이 서민금융의 핵심 축임을 강조하며 입법 및 정책적 지원을 약속했다.
2일 국민의힘과 여신금융업계는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민생경제 및 여신금융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여신금융업계의 제도 개선 요청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업계는 지급결제서비스의 혁신과 중소기업·서민 대상 자금 공급 확대 및 혁신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국회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용카드사가 지급결제 전용 계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현재 카드사는 결제대금 정산 시 은행을 통해 자금을 이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수료 부담이 크다. 자체 계좌를 도입하면 수수료 절감과 함께 결제 프로세스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결제 서비스 개발도 촉진될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또한 카드결제가 불가능한 거래 범위를 줄이고 결제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현재는 등록된 가맹점에서만 카드결제가 가능해 중고거래 등 개인 간 거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보험료 역시 카드결제가 제한된다. 업계는 카드결제 허용 범위를 넓히면 소비자 편의성 제고와 함께 비현금 결제 활성화, 투명한 거래 환경 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와 함께 캐피탈사의 자동차금융 플랫폼 활성화 방안도 논의됐다. 업계는 중고차 매매·통신판매업 등 부수업무 확대를 통해 비대면 채널을 강화하고 모빌리티 금융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보험 판매 허용과 같은 규제 완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국회 정무위원회 여당 간사 강민국 의원은 "트럼프 2.0 정부 출범 이후 세계 증세는 시계 제로에 놓고 중국발 리스크 때문에 한국 경제도 한계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강 의원은 "고금리, 고물가, 고유가 리스크에 한국의 민생 경제도 굉장히 어려운 지경에 놓였다"고 했다.
이어 강 의원은 "이럴 때일수록 한국 서민금융 지원 허브 역할을 하는 여신금융업계가 많은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며 "여당은 정책과 입법을 통해 지원책을 고민하겠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경영 환경이 어렵다"면서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유동성 확보로 실물 부분에 대한 자금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여신금융업계가 중소기업 및 서민에 대한 자금 공급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혁신 금융을 통해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현장에는 강민국 의원과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해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원회 의장과 이현승 의원이 참석했다. 카드업계에서는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진성원 우리카드 대표 △최원석 BC카드 대표 △성영수 하나카드 대표 △김덕환 현대카드 대표 △김이태 삼성카드 대표 △박창훈 신한카드 대표 △김재환 KB국민카드 대표가 참석했다. 캐피탈업계에서는 △빈중일 KB캐피탈 대표 △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가 자리했으며 신기술 금융업권에서는 △이만희 미래에셋캐피탈 대표 △이경섭 포스코기술투자 대표가 참석했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