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1차장의 폭로에
대통령실, 입장 냈다 취소
비상계엄 선포 배경에는 
'부정선거 의혹'까지 제기

비상계엄 사태 뒤 후폭풍이 대한민국 전체를 거세게 휘몰아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계엄 해제 발표 이후 공식 일정을 취소했다. /연합뉴스
비상계엄 사태 뒤 후폭풍이 대한민국 전체를 거세게 휘몰아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계엄 해제 발표 이후 공식 일정을 취소했다. /연합뉴스

국회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독대에 이어 국정원 차장의 폭로와 부정선거 의혹이 나오고 있다. 

6일 오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사실상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선회하면서 정국은 급물살을 탔다. "윤 대통령 직무정지가 필요하다"는 한동훈 대표 발언 파장이 커졌고 오후에는 한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회동을 가졌다. 

이날 오후 독대를 통해 윤 대통령이 한 대표의 탄핵 추진을 막는 구도처럼 보였다. 하지만 한 대표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독대 뒤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방금 윤석열 대통령과 만났다. 윤 대통령은 현재로선 특별한 조치를 고려하지 않는 것 같다"며 "윤 대통령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주요 정치인을 반국가 세력으로 규정하고 체포를 시도한 국정원과 방첩사령부의 활동이 확인되고 있다"며 "그냥 넘어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국회는 '헬기 착륙 방지' 목적으로 국회 잔디 광장과 운동장에 대형버스를 배치했다. /국회 보좌진 제보자 제공
국회는 '헬기 착륙 방지' 목적으로 국회 잔디 광장과 운동장에 대형버스를 배치했다. /국회 보좌진 제보자 제공

두 사람의 회동이 더욱 관심을 모았던 건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의 폭로 내용 때문이다. 홍 차장은 국회에서 "윤 대통령이 직접 연락해 한동훈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등을 잡아들여 싹 정리하라고 지시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비슷한 시각 대통령실이 관련 입장을 냈다가 취소하는 일도 있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윤 대통령이 그 누구에게도 국회의원을 체포, 구금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고 전했다가, 이를 삭제해달라고 다시 알렸다.

아울러 비상계엄 선포의 배경에 '부정선거 의혹'까지 터져 나온 상황이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여러 언론에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려고 선관위에 계엄군을 보냈고, 이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란 취지로 설명했다.

계엄 사태를 둘러싼 증언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탄핵에 대한 여당 내 기류가 바뀐다면 윤 대통령도 지금과 같이 침묵을 지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