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후 상생협의체 6차 회의 파행
매출액 상위 60%에 9.8% 수수료율
입점단체, 배민 상생안 내용 거부

배달의민족이 입점업체에 최대 9.8%의 중개수수료율을 적용하는 '차등 수수료'를 상생안으로 제시했지만 입점 단체들은 이를 거부해 팽팽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8일 배달앱 입점단체와 업계에 따르면 이날 열린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6차 회의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파행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이날 회의에서 배달앱 매출액 기준 상위 60% 점주에게 기존과 같은 9.8%의 중개수수료율을 적용하는 상생안을 제시했다. 상위 60∼80%에는 4.9∼6.8%를, 상위 80∼100%에는 2%를 각각 적용하는 방식이다.
협의체에 참가한 입점단체들은 배민의 상생안을 거부했다. 대신 중개수수료율 상한을 5%로 제한하는 방안을 요구했다.
입점단체 관계자는 "이날 거론된 상생안은 앞서 배민이 제시했다고 알려진 상생안(상위 40% 이상에 9.8% 적용)보다 후퇴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입점단체 측은 지난 4일 사전 모임을 통해 2∼5% 수준의 중개 수수료율을 요구하기로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배민이 상생안이라고 요구한 중개수수료율도 터무니 없이 높다는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입점 단체들의 요구는 최대 중개수수료율을 5%로 제한하자는 것"이라며 "배민이 일방적으로 중개수수료율을 9.8%로 올리기 전인 6.8% 수준도 과도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 측은 이날 회의에서 배달앱 운영사에 오는 10일까지 상생안을 수정해서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수정된 상생안을 토대로 오는 14일 협의체 7차 회의를 열고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 “배달앱 수수료부터 티메프까지”···22대 국감서 유통가 대표 줄줄이 소환
-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이중가격제’ 확산···“플랫폼 침체로 부메랑될 것”
- 뿔난 자영업자 “배달앱 가격 통제 못 참아”···배민·쿠팡이츠·요기요는 ‘모르쇠’
- "수익성 개선이냐 점유율 확대냐"···배달의민족 딜레마
- 배달의민족 수수료 인상에 점주들 "폐업해야 하나"···음식값 인상 우려도
- [국감] 티메프 사태 피해자 우는데···중기부 장관은 "경영자 무책임 탓"
- 與, 지배적 플랫폼 기준 강화···매출 4조→3조 배민도
- 3위로 밀린 교촌치킨, 변우석 손잡고 치킨업계 판도 바꿀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