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병원, 건강보험 청구 비율 99.6%
천수근 특허 보유 자생한방병원 특혜 논란
복지부, 자생한방병원 특혜 의혹 감사 검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자생한방병원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
7일 국회 복지위 국정감사에서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생 계열 한방병원과 소속 한의원들이 최근 건강보험 청구에서 99.8%를 차지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자생 계열 한방병원과 한의원 21곳이 '천수근'으로 7355건을 청구했고 전체 청구 건수 7382건 중 99.6%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생 계열 병원에서 지급된 한약재 비용은 총 3억 7770만 원으로 전체 금액 3억 7899만 원의 99.7%를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신준식 자생한방병원 이사장이 천수근의 특허를 보유해 해당 병원이 이 약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논란의 중심이다.
이번 의혹은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 비서관의 장인이 운영하는 자생한방병원이 보건복지부의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 사업'의 주요 수혜자로 지목되면서 부각되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감사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하며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볼 것임을 밝혔다.
강 의원은 "신 이사장의 차녀에게 자신이 아끼는 막내 검사(이 전 인사 비서관)를 소개한 사람이 윤석열 대통령"이라고 언급하며 이 전 비서관의 아내가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할 정도로 김건희 여사와 친분이 깊다고 말했다.
서영석 의원은 "천수근을 사용하는 한의사는 전체 한의사의 13%에 불과하다"며, "이 한약재가 건강보험 급여 목록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한 특혜"라고 지적했다. 그는 복지부가 철저한 감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조 장관은 "상황을 면밀히 조사한 후 필요시 감사 진행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금융 국감 이틀 앞, 은행에 가려 보험·카드·증권 존재감 '실종'
- “배달앱 수수료부터 티메프까지”···22대 국감서 유통가 대표 줄줄이 소환
- [국감] 복지위 '의료대란·의대 증원' 집중 질타
- 尹정부 '감세 통한 성장' 노렸지만···세수 펑크·가계대출 리스크 현실화
- 막 오른 산자위 국감···'체코원전·대왕고래·전력망' 치열한 공방
- 노인 고독사 연평균 12.2% 증가··· 복지위 국감서 '숙제' 풀어야
- [국감]與 이재명 헬기 특혜 맹공…野 "프레임 씌우기" 반격
- [국감] '음주 운전'에 '김건희 특혜' 공세···난투장 된 경찰청 국정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