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회장 간담회 개최
가계대출 목표치 달성 주문
횡령·불완전판매 예방 언급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가계부채 증가 시 적기에 관리 수단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30일 김 위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지주회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가계부채 증가 추이에 따라 준비돼 있는 수단을 적기에 과감히 시행할 것"이라며"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는 궁극적으로 금융권의 심사 기능과 리스크 관리 노력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에서 가계부채 총량의 60%가 취급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금융지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남은 3개월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내년에도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주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가계부채 관리 목표를 수립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은행권에서 발생한 횡령 및 불완전판매와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금융의 본질은 신뢰“라며”금융지주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내부통제 강화를 통해 금융사고를 예방해 달라"고 주문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지주들은 "가계부채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면서 "최근 방산, 원전 등 국가 핵심 전략 산업의 수출과 관련해 금융그룹 차원에서 충분한 금융지원을 통해 원활하게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최근 반복되는 금융사고는 조직의 근간을 흔들고 고객의 신뢰를 저하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과거 사고를 반면교사로 삼아 체계적 내부통제 시스템을 금융그룹 차원에서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5영업일 가계대출 증가세 절반 '뚝'···스트레스 DSR 2단계 효과
- '부실PF 4조' 저축銀, 충당금 쌓기·사업장 정리 이중고 "관건은 경·공매"
- '본연 역할 소홀' 상호금융권 지적 김병환 "자산규모 관리 역량 넘어서"
- 차주는 '한숨' 은행은 '눈치'···금리, 대출 오르고 수신 내리고
- "빚 갚느라 번 돈 다 썼다" 157만명 육박···저신용 취약 차주 3만명 늘어
- 임종룡 우리금융회장 국감 증언대 선다···금융그룹 회장 첫 사례
- '과도한 추심 금지'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앞두고 점검반 가동
- 신한금융, 3분기까지 4조 순익···1300억 사고에도 이자이익 증가
- 하나금융 3분기 누적 순익 3조2254억원···전년比 8.3% 증가
- 측근 인사·투명성 논란까지 농협금융 '인사 잡음'···자회사 경영진 향방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