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늘봄학교 추진에 1374억원
기초학력 지원하고 급식 환경 개선

서울특별시교육청이 12조4486억원의 긴축 예산을 편성한다. 추가된 예산은 맞춤형 늘봄교실 운영과 디지털 학습 환경 구축, 기초 학력 및 심리 정서 지원, 학교 급식 조리 환경 개선 등에 쓰인다.
27일 서울시교육청은 본예산 11조1605억원 대비 1조2881억원(11.5%) 증가한 12조4486억원 규모의 2024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5월 27일(월)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예산(안)을 통해 2024년 '서울형 늘봄학교'를 추진한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는 등 학생의 성장·발달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2025년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라 미래 교육 환경 구축 및 수업 여건을 조성하고 기초학력 내실화와 학생 지원을 강화한다. 아울러 학교 급식 조리 환경의 개선 및 종사자 산업재해 예방, 학교 노후시설 개선 등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집중 투자할 전망이다.
증가한 세입 1조2881억원 중 일반재원이 8227억원(63.9%)이고 특별교부금 등 목적재원이 4654억원(36.1%)을 차지한다. 목적 재원 중 2024~2026년 3년간 교육부로부터 한시 교부되는 '디지털교육혁신특별교부금' 873억원이 이번 추경예산에 처음 포함됐다.
세출 주요 편성 내역은 △미래 교육환경 구축과 인공지능기반 교수학습 역량 강화 등 디지털 교육혁신 2679억원(특교 561억원 포함) △맞춤형 늘봄교실 구축 및 운영 1374억원(특교 335억원 포함) △기초학력 보장 지원 및 내실화 113억원(특교 74억5000만원 포함) △학교 급식 조리 환경 개선 50억원 △학교 노후시설 개선 및 개축사업 지속 추진을 위해(기금전출금 2993억원 포함) 총 5,83억원을 중점 편성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추경은 주요 교육 사업 및 국정과제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교육 재정 운용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강화했고 미래 교육 수요와 디지털 교육 활동 강화로 교육력을 제고하며 '서울형 늘봄학교'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서울 시민, 서울온라인학교 이름 직접 짓는다
- '총상금 700만원' 서울시교육청, 데이터 공모전 개최
- 서울시교육청, '꽃 체험 활동'으로 학생 마음 돌본다
- [기고] 바보야, 학생 인권과 교권 추락은 별개 문제야
- 대법원까지 가는 학생인권조례···조희연도 시의회 재의 요구
- 서울시교육청, 고교학점제 온라인 지원센터 홈페이지 개설
- ‘반찬 1개’ 부실 급식 논란에 50억원 추경 편성 서울시교육청
- 교육청, 서울 학생 '맞춤형 성교육' 지원···전문 강사·공연팀 학교 방문
- '악성 민원' 학부모, 교육감 조희연에 무고 혐의 고소
- 중학생 전학 '클릭 한 번에'···서울시교육청 서비스 시행
- ‘학교 밖 고3’ 교육청 도움센터에서 6월 모의고사 응시한다
- 서울시교육청, 온라인으로 제4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개관
- 서울시교육청, '미래 체육 인재 한마당' 개최
- 서울시교육청, F&B 취업 희망 직업계고 학생-기업 연결···취업박람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