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주의 텐션업 갱년기]
영화 ‘시민덕희’의 보이스피싱 추적기를 보며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에 대해 생각해 봤다

라미란, 염혜란, 장윤주의 케미가 돋보였던 소시민 활약기, 영화 ‘시민덕희’ /사진=쇼박스
라미란, 염혜란, 장윤주의 케미가 돋보였던 소시민 활약기, 영화 ‘시민덕희’ /사진=쇼박스

친구의 초대로 영화 <시민덕희> 시사회에 다녀왔다. 보이스피싱을 당한 여성이 직접 보이스피싱 조직을 찾아 나선다는 이야기인데, 워낙 요즘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많은데다 실화를 모티브로 삼았다고 들어 관람 전부터 관심을 가졌던 영화다. 

‘보이스피싱 두목 잡은 주부’로 알려진 김성자 씨의 실제 사건은 2016년 방송에서도 소개되었다. 세 아이의 엄마인 김씨는 영화 속 이야기처럼 보이스피싱으로 3200만원을 사기당한다.

세탁과 옷 수선을 하며 열심히 모은 돈을 한 번에 잃은 그녀는 충격과 절망에 빠졌고, 그렇게 괴로운 시간을 보내는 중 자신에게 사기를 친 보이스피싱 범인이 전화를 다시 해왔고 그녀에게 도움을 청한다. 중국에서 조직에 협박당하며 이 일을 하고 있다는 그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총책에 대해 알려줄 테니 신고해달라고 말한다.

김씨는 전화로 들었던 정보를 가지고 경찰을 찾아가지만 경찰은 듣는 둥 마는 둥 수사를 시작하지 않는다. 여기까지는 실화와 영화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영화에서는 주인공 덕희가 동료들과 함께 직접 중국으로 향해 보이스피싱 조직을 직접 마주하는 방법을 택했다면 실제 김씨는 본인이 직접 조직원을 설득하고 질문해 총책 검거에 필요한 정보들을 모았고 경찰에 가져다주었다고 한다.

결국 경찰은 그녀가 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에 입국한 총책을 검거할 수 있게 된다. 얼마나 절박하고 억울했으면 평범한 시민이 직접 범죄 조직의 총책을 스스로 잡겠다고 생각했을까. 어떻게 그런 용기를 낼 수 있었을까. 마침 시사회 객석에 덕희의 실제 모델인 김성자 씨가 와 있었고, 관객들은 그녀를 향해 큰 박수를 보냈다. 

어려운 상황에 닥쳤지만 그 자리에서 조금이라도 나아가려는 마음, 소위 ‘중꺽그마’를 응원한다. /사진=Olia Gozha on unsplash
어려운 상황에 닥쳤지만 그 자리에서 조금이라도 나아가려는 마음, 소위 ‘중꺽그마’를 응원한다. /사진=Olia Gozha on unsplash

영화를 보며 그날 오전에 진행한 행사에서 들었던 단어가 떠올랐다. ‘중꺽그마(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재단의 청년 지원 사업 중 하나인 ‘KF글로벌 챌린저 아카데미’의 수료식에서 한 학생이 언급한 말이다.

글로벌 챌린저 아카데미는 일정 기간 이상의 해외 체류 및 어학연수 등의 유학 경험이 없는 국내 대학생들의 글로벌 진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마련한 사업으로 한 달여의 국내 교육과 4개월의 미국 대학 연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그날은 지난 6개월간 운영된 과정을 마치고 그동안 각자가 느꼈던 변화와 소회를 나누는 자리를 가졌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까지 졸업 후 진로를 포함해 제 미래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방향을 찾기가 힘들었어요. 그런데 여기 있는 친구들과 함께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경험을 하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더 넓게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고 하는데, 저는 꺾여도 그냥 해보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언제 어디서든 꺾이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용기와 근성이 있으면 물론 좋겠지만, 누군가는 혹은 어떤 경우에는 큰 역경을 맞아 넘어지고 원망하고 절망하며 지내기도 한다. 어디로 가야 할지 답을 찾지 못하는 암담한 상황이라면, 그렇게 꺾인 나를 그대로 인정하고 그 자리에서나마 할 수 있는 것을 조심스럽게 찾아가는 수밖에 없다.

영화 속 덕희 역시 보이스피싱의 피해자로 앞으로 닥칠 일이 두렵기만 한 어려운 상황에 접했으나, 꺾인 그 자리에서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앞으로 나아간다. 경찰이 도와주기는커녕 관심을 가져주지도 않지만 포기하지 않고 혼자서라도 범인 검거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해보겠다고 나선 덕희의 모습에서 ‘중꺽그마’라는 말을 떠올린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보이스피싱으로 사기를 당해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된 그녀가 ‘피해자인 나는 잘못한 것이 없다’는 말을 되뇌며 스스로 힘을 불어넣으며 어렵게 일어서는 장면은 그래서 내가 이 영화에서 가장 좋아한 부분이다.  

일상을 뒤흔드는 사건이 벌어졌을 때 평범한 시민인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최선을 다해 움직이다 보면 적어도 스스로를 응원하는 마음은 놓지 않고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