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자진신고·자문위 보고 '맹탕'
與 “김홍걸 코인, 윤리위 제소 안 해”
권영세도 엮이자 신중 모드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에 암호화폐(코인) 보유·거래내역을 신고한 국회의원 11명 중 100회 이상·1000만원 이상 누적 거래한 이들은 5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자당 소속 의원의 이해충돌 의혹을 회피하고 있어 보다 세밀한 조사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자문위)는 전날 김진표 국회의장과 국민의힘 윤재옥·민주당 박광온 원내대표에게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양당은 5명 중 현재 소속된 상임위원회와 이해충돌 소지가 있는 의원은 없었다는 자문위 결과를 전하며 사태를 축소했다. 다만 자문위는 이들이 거래했던 암호화폐의 성격을 판단, 이해충돌 발생 우려가 있는 상임위를 적시해 김 의장과 양당 원내대표에게 전했다.

앞서 자문위에는 국민의힘 소속 권영세 의원과 김정재 이양수 유경준 이종성 의원, 민주당 소속 김상희 김홍걸 전용기 의원,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 무소속 김남국 황보승희 의원 등 11명이 암호화폐 거래를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문위는 이들 중 자체 기준(100회 이상·1000만원 이상 거래)에 해당하는 의원 5명의 이해충돌 가능성을 검토했다.

권 의원은 3000만원가량을 코인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3년간 500회에 걸쳐 코인 거래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2억6000만원 상당의 암호화폐 거래 사실을 밝힌 김홍걸 의원, 김남국 의원 등이 대상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권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여당은 확전을 자제하는 모습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여성경제신문과 만나 김홍걸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할 계획 여부에 대해 “윤리위 제소 여부를 떠나 국민 입장에서 보면 개탄스러운 일”이라면서도 “굳이 윤리위 제소는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민주당도 권 의원 윤리위 제소 실행을 유보했다.

국민의힘은 국민권익위원회에 의원들의 암호화폐 전수조사를 의뢰하기 위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취합하기로 했다. 하지만 윤 원내대표는 전날 “여야 간 동시에 전수조사를 하자고 합의되면 제출하자고 했고 모든 의원이 동의했다”고 조건을 내걸었다.

김남국 의원의 코인 보유 논란이 제기된 지난 5월만 해도 국민의힘은 "전수조사를 비껴가거나 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며 당당한 자세를 취했지만, 실제 조사 결과가 나오자 신중론으로 돌아선 것이다. 

유재풍 자문위원장의 입장 선회도 논란이다. 유 위원장은 지난 20일 '코인 보유 의원이 이해충돌 소지가 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런 부분 있는 거 같아서, 별도로 그건 의장님이나 정당에 통보할 것"이라고 답했다. 

유 위원장은 27일엔 "이해 충돌과 관련된 것을 각 당 대표에게 알려드렸다. 해당 소속 정당 의원들에게 말했다"면서도 '언론 보도된 내용 중 사실과 다른 것이 있냐'는 질문에는 침묵했다. 일주일 사이에 심사 기준이 느슨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정의당 이재랑 대변인은 이날 소통관 회견을 통해 "양당이 참으로 한결같다. 상대 당의 의원들이 문제 될 것 같으면 고소 고발을 남발하다가도 자당 의원들이 문제 될 것 같으면 조용하다"며 "전수조사 결의안을 통과한 게 벌써 두 달 전이지만, 아직도 서로 탓을 하느라 양당은 권익위 전수조사에 합의조차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대 당 공격에는 힘껏 소리치다가 자당 의원 건에는 침묵을 지킨다"며 "코인 앞에선 무서울 정도로 한편이 되는 양당은 그냥 ‘더불어코인의힘’으로 하나가 되길 권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