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연장·예비군 처우 개선
청년도약계좌, 출시 후 인기
민주, 청년 자문단 구성 계획

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의 승부처로 꼽히는 청년층 표심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년층에 와닿는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는 전략으로 이슈를 선점하는 효과를 챙긴 모습이다.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달 25~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9명 대상 정당 지지도를 물은 결과 국민의힘 38.8%, 민주당 39.6%, 정의당 2.8%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국민의힘은 20대(33.5%)에서 우위를 보였다.
한국갤럽이 서울경제 의뢰로 지난달 26~27일 양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힘이 30대 연령(38.3%)에서 민주당보다 오차범위 밖 우세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기현 대표는 지난 5월 대표 직속 청년정책 총괄 기구로 청년정책네트워크를 출범했다. 대학생이 1000원을 부담하면 나머지 식비를 정부와 학교 등이 지원하는 ‘1000원의 아침밥’ 정책이 흥행하자 곧바로 확대 신설한 것이다.
국민의힘은 이어 △토익 성적 유효기간 연장(2년→5년) △예비군 처우 개선 △취업준비생 개인정보 알림·파기·고지 등 맞춤형 정책을 연이어 내놓았다. 국민의힘 정책위 관계자는 3일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청년들이 체감하는 정책을 내놓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했다"고 말했다.
당정은 오는 2학기부턴 학생 예비군 훈련에 참여한 대학생이 수업에 결석해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관련 시행령을 개정키로 했다. 앞서 일부 대학교에서 예비군 훈련 때문에 수업 참여도 점수가 깎였다고 피해를 호소해 논란이 됐는데 즉각적인 조치가 발동된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청년도약계좌'도 여권이 기대하는 작품이다. 가입 신청자가 출시 나흘 만에 30만명을 넘어섰다. 매월 70만원씩 5년간 적금하면 최대 5000만원을 마련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저지 투쟁에 당력을 집중한 사이 청년 이슈 대응이 비교적 늦은 모습이다.
또한 새로 출범한 민주당 혁신위원회는 청년·여성 몫 외부 전문가 선임을 당초 김은경 위원장이 강조했음에도 이뤄지지 않았다.
민주당은 거대 의석의 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산업단지 근로자 교통비 지원 정책 등을 준비하고 있다. 중소기업 산업단지 청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매달 5만원 교통비를 지원해 주던 ‘청년동행카드’ 사업이 지난해를 끝으로 종료됐는데 재도입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이 밖에도 민주당은 육아휴직 확대, 대출금리 인하 등의 정책도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윤형중 민주당 대변인은 “청년 자문단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청년도약계좌 가입 재개, 5부제 없이 14일까지 신청 가능
- 취준생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與, '파기 알림' 의무화
- 與 김기현, 청년층에 구애···"총선 참여 시 팍팍 밀겠다"
- 與, 청년 민심 파고들기···"주 52시간제 후퇴 불안 해소"
- '가족돌봄청년' 30만명···김기현 "맞춤형 예산 지원"
- 與 여성위원장 손인춘 "차세대 여성 지도자 육성할 것"
- 日 처리수 '기준 부합' 검증 나와도···민주당, 정략적 투쟁 강화
- 청년 2100여명에 일 경험 제공···KT·롯데 등 맞춤형 직무 체험
- 예비군 학생 '녹화 강의' 제공이 불공평?···尹 "대학 학습권 보장" 강조 현실은
- 5년 믿고 부었는데···정권 따라 뒤집힌 청년적금, 2030 허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