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단체협의회 여론조사
‘사회 지도층에 남성 포진’ 인식 팽배

서울시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양성평등 불공정을 느끼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한 ‘2023 양성평등 인식 조사(양성평등 항목별 동의 정도)’ 결과에 따르면, ‘정치인 등 고위공직자나 기업 임원 등은 주로 남성’이라는 항목에 서울시민들은 81.3%(긍정 비율)가 응답했다.
해당 항목을 전체 응답자로 살펴보면, ‘남성 60.7%’ ‘여성 92.9%’로 집계됐다. 연령 별로는 20대 ‘79.6%’, 30대 ‘75.8%’, 40대 이상 ‘92.3%’다.
양성평등 관련 항목은 ‘정치인 등 고위공직자나 기업 임원 등은 주로 남성’을 비롯해 ▲경력 단절 시 업무역량 차이가 있다 ▲연봉 상승 및 승진 등의 기회는 남성에게 우선적으로 돌아간다 ▲일과 가정의 양립은 업무에 지장을 준다 ▲자녀 육아 및 돌봄의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 등이다.
‘경력 단절 시 업무역량 차이가 있다’는 항목에 서울시민들은 76.8%(긍정 비율)가 응답했다. 해당 항목을 전체 응답자로 살펴보면, ‘남성 62.5%’ ‘여성 84.8%’로 집계됐다. 연령 별로는 20대 ‘79.6%’, 30대 ‘69.4%’, 40대 이상 ‘84.6%’다.
‘연봉 상승 및 승진 등의 기회는 남성에게 우선적으로 돌아간다’는 항목에 서울시민들은 72.3%(긍정 비율)가 응답했다. 해당 항목을 전체 응답자로 살펴보면, ‘남성 46.4%’ ‘여성 86.9%’로 집계됐다. 연령 별로는 20대 ‘68.5%’, 30대 ‘66.1%’, 40대 이상 ‘87.2%’다.
‘일과 가정의 양립은 업무에 지장을 준다’는 항목에 서울시민들은 62.6%(긍정 비율)가 응답했다. 해당 항목을 전체 응답자로 살펴보면, ‘남성 53.6%’ ‘여성 67.7%’로 집계됐다. 연령 별로는 20대 ‘59.3%’, 30대 ‘56.5%’, 40대 이상 ‘76.9%’다.
‘자녀 육아 및 돌봄의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항목에 서울시민들은 54.2%(긍정 비율)가 응답했다. 해당 항목을 전체 응답자로 살펴보면, ‘남성 33.9%’ ‘여성 65.7%’로 집계됐다. 연령 별로는 20대 ‘53.7%’, 30대 ‘45.2%’, 40대 이상 ‘69.2%’다.
해당 조사는 ‘2023 서울특별시 성평등 기금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됐으며, 서울 거주 성인남녀 155명(온라인 패널조사 100명, 협의회 진행 조사 55명)을 대상으로 7일간(지난 4월 27일부터 5월 3일) 온라인 패널조사 및 종이 설문지에 따른 면접조사가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7.9%포인트다.
해당 조사의 전체 응답자는 성별 기준으로 남자 ‘36.1%’, 여성 ‘63.9%’다. 연령 별로는 20대 34.8% 30대 40.0% 40대 4.5% 50대 9.7% 60대 이상 11.0% 순이다.
한편 한국여성단체협의회가 ‘2023 양성평등 인식 조사’를 실시한 배경으로는 ‘양성평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여협은 이를 바탕으로 영역별 양성평등 관련 교육 의제 설정 및 방법 설정 등을 수정·수립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여협, 충남도와 ‘여성정책 협력강화’ MOU 체결
- 여협, '저출산 정책 제안서' 여당 정책위에 전달
- "성별 임금 격차, 기업 공개 의무화해야"···국회 토론회
- 은행 여성 임원 비율 7.3%···'유리천장' 여전
- 198년 만에 유리천장 깼다···멕시코, 첫 여성 대법원장 선출
- 해외 언론계 '유리천장' 허무는데···한국은 女편집장 비율 저조
- “우리 사회 양성평등 수준은?”···서울시민 60% ‘여성에 불평등’ 꼽아
- 성 불평등이 낳은 ‘인구감소·사회분열’···개선하려면 ‘일·가정 양립’ 시급
- 여성 사외이사 비중 18%로 늘었는데···사내이사는 제자리걸음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제작 ‘양성평등 웹드라마’ 큰 호응
- 尹대통령 "여성이 사회 주도적 역할 해야···제약 요소 걷어낼 것"
- 직장인 여성 40%가 '임금 차별' 경험···남성의 2배
- 여성 지자체 공무원 50.4%···남성 넘어섰지만 '유리천장' 여전
- 여협, 어르신 대상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 한국 여성 관리직·의원 OECD 절반 이하···유리천장 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