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가 월소득 87만원 미만
독거노인 빈곤율 72.1%

가족 없이 혼자 사는 1인 가구 빈곤율이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청년보다는 노인이 가난한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았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에서 2020년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을 47.2%로 집계했다. 월 87만8597원 미만만 갖고 있었다는 뜻이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전체 인구 빈곤율 15.3%와 비교하면 3배 이상 높다.
최근 5년간 ▲2016년 54.0%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 ▲2020년 47.2%로 변화했다. 2018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여성 1인 가구 빈곤율은 남성에 비해 높았다. 2020년 기준 여성은 55.7%, 남성은 34.5%다. 다만 남녀 성별 빈곤율 격차는 좁아지고 있다. 2016년의 경우 여성 1인 가구의 빈곤율은 63.8%, 남성 1인 가구 빈곤율은 38.7%였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노년 1인 가구 빈곤율이 2020년 기준 72.1%로 가장 높다. 10명 중 7명 이상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는 의미다. 이어 ▲50~64세(중년) 38.7% ▲19~34세(청년) 20.2% ▲35~49세(장년) 19.5% 순으로 빈곤율이 높았다.
노인 빈곤율은 2020년 기준 39.0%다. 여성 노인의 경우 빈곤율은 43.9%로, 남성 노인 빈곤율 32.7%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장애인 빈곤율도 2020년 기준 39.5%로 높게 나타났다. 한부모 가구 빈곤율은 22.4%, 아동 빈곤율은 9.8%, 청년 빈곤율은 8.2%다.
1인 가구는 혼인·부양에 대한 가치관이 변하면서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5년 20% 수준이었던 것이 2021년 역대 최고치인 33.4%로 올랐다. 지난해 12월 통계청 발표에서 2021년 1인 가구는 716만 6000가구로 전년 대비 7.9%(52만 2000가구) 늘었다.
관련기사
- 오세훈표 안심소득 2년차···85% 중위소득 이하 1100 가구 모집
- "즉석 식품에서 셰프 요리까지 간편식 한자리서 맛보세요"
- 65세이상 인구 5명 중 1명 "나 혼자 산다"
- 양육비는 나몰라라 '나쁜 부모' 형사처벌···여가부, 법 개정 추진
- 혼자 아이 키우는 한 부모 151만 가구 돌봄 공백 어쩌나
- 저출산 문제에 남성 '소득 불평등'도 영향
- 굽은 등으로 ‘시니어 보릿고개’ 넘는다‧‧‧75세 근로소득 139만원
- '노인 폄하' 파문에 민주당 "어르신 안정적 생활 지원"
- 10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월평균 140만원 지출"
- 1인가구 지원에 여성은 뒷전···동대문구 '남성 우대' 정책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