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1인가구 166만 1000명

노인 사진./ 픽사베이
노인 사진./ 픽사베이

배우자도 자녀도 없이 홀로 사는 노인이 16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화 추세가 심화하면서 이런 유형의 위험 가구가 급증할 수밖에 없어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통계청의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2일 보면 일반가구(노인 요양시설 등 집단가구 제외) 구성원 중 65세 이상 가구원은 784만 6000명, 이 가운데 1인 가구인 사람은 166만1천명으로 21.2%를 차지한다. 65세 이상 인구 5명 중 1명이 가족 없이 홀로 살고 있다는 의미다.

65세 이상 인구 중 자녀없이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는 288만 4000명에 달한다. 전체의 ⅓ 남짓(36.8%)이다. 배우자 없이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은 141만 8000명이다. 6명 중 1명꼴(18.1%)이다. 고령자 부부가 자녀와 함께 가구를 이루고 사는 경우는 157만 6000명으로 20.1% 비중을 차지한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65세 이상 고령인 1인 가구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2015년 122만 3000명에서 2020년 166만 1000명으로 5년 새 35.8%나 늘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80세 이상 1인 가구의 증가 속도가 더 가파르다. 지난해 80세 이상 1인 가구는 47만명으로 2015년 31만 3000명 대비 50.2% 급증했다.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는 거처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이들 가구의 48.5%가 단독주택을 거처로 쓰고 있고 아파트가 거처인 경우는 36.7%에 그친다. 전체 일반가구는 아파트를 거처로 사용하는 경우가 51.5%로 가장 비율이 높고 단독주택은 30.4%에 머문다. 고령자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은 병원 등 의료 인프라와 접근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지방이다.

전체 일반가구에서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이다. 일곱 집 건너 한 집꼴(13.8%)로 1인 가구 비율이 높다. 경북이 11.7%, 전북이 11.5%, 강원이 10.6%로 뒤를 따른다. 이에 비해 서울은 6.5%, 세종은 4.1%에 그친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