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 규제 강화 필요성 대두
전문가 "지역사회 전파 우려"

최근 중국 동부지역에서만 하루에 100만명이 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자 국내 방역에도 비상이 걸렸다.
2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는 7만1427명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590명으로 12일 연속 500명대를 기록했다. 전날 사망자는 76명으로 지난 9월 4일(79명) 이후 116일 만의 최다치다.
중국 정부가 지난 7일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후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7일 상시적 전수 PCR(유전자증폭) 검사 규제를 폐지하는 등 '위드 코로나'로 정책을 전환했다.
중국 백신 접종률 등이 낮은 상황에서 확진자가 폭증하는 만큼 오미크론을 넘어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12월 이후 12개의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했는데, 주요 전염병 균주는 BA.5.2, BF.7, BM.7이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정부는 다음달 8일부터 입국자 시설 격리를 해제하는 등 출입국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측의 한국행 항공편 예약과 검색량이 폭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우리 방역당국은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조정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로 들어온 해외유입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 비율은 11월 1.1%에서 12월 14.2%로 증가했다.
현재 방역당국은 지난 16일부터 중국을 관리가 필요한 '표적 검역국'에 포함시킨 상태다. 체온이 37.3도가 넘으면 유증상자는 물론 동반자에 대해서도 PCR 검사를 하고 있다.
해외 각국은 이미 중국발 여행객이 쏟아져 나올 조짐에 입국 규제 강화에 착수했다. 일본, 대만, 이탈리아, 인도는 중국발 입국자들의 코로나19 검사 등을 의무화했고, 미국은 출국 48시간 전 실시한 코로나19 검사 음성 확인서를 받기로 했다.
중국에 대한 빗장 강화뿐만 아니라 외교 관계도 고려 대상이다. 중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반감을 드러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각 측은 과학적으로 전염병과 싸우고, 각국 사람들의 안전한 교류를 보장해야 한다"면서 "중국은 항상 각국의 전염병 방역 조치가 과학적이고 적절해야 하며, 정상적 인적 교류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방대본은 오는 30일 국가 감염병 위기 대응 자문위원회를 열고 중국 대상 추가 방역 조치를 논의할 방침이다.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과학 방역'이 시험대에 오르는 셈이다. 입국 전 48시간 이내 PCR 검사 음성 확인서 제출 등의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전문가는 당국의 예상되는 조치에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는 이날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중국에서 감염되어 갖고 우리나라에 들어오고 지역사회에 전파 시킨다면 엄청난 파급효과, 확산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선제적으로 막는 예방 조치는 분명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PCR 검사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12시간 이상 걸리는데 주말 같은 때 걸릴 경우 우리 국민들이 입국하는데 굉장히 불편할 것"이라며 "신속항원의 경우 민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런 검사들이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은 어느 나라나 다 마찬가지"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