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發 입국자 방역 강화에
중국 내 'NO한국' 불매운동 조짐
中정부 참전 안한 명분 없는 불매

한국이 중국 대상의 코로나19 방역을 강화하자, 그 반발로 중국 내에서 'NO한국' 불매운동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중국인들의 불매운동 장기화 우려도 있지만, 아직은 온라인 반응일 뿐 과거 중국 정부가 단행한 경제 보복 사태와는 다른 상황이란 지적이 나온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 대상으로 입국 1일 이내 유전자증폭검사(PCR) 및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 이용이 의무화됐다. 5일부터는 중국발 입국자는 한국 입국 전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한국 방역 당국의 이 같은 조치가 시행되자 3일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등에는 불만의 댓글이 쏟아졌다. 또한 한국에는 가지도, 한국 물건을 사지도 않겠다는 이른바 'NO한국' 불매운동의 움직임까지 나타났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NO재팬' 운동을 따라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불매운동 양상이 'NO재팬' 운동과 유사하다는 것.
'NO재팬' 운동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19년 한국에 수출통제 조치를 취하자, 그 대응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일어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다. 일본 제품의 대체 상품을 알려주는 온라인 사이트 '노노재팬'까지 등장해 유니클로를 비롯한 일본 상장 기업의 매출에 타격을 입힌 바가 있다.
다만 이 교수는 'NO재팬' 운동과 다르게 "중국의 불매운동에는 명분이 없다"면서 "코로나 방역 강화는 (수출통제 조치와 같은 것이 아닌) 질병관리청의 판단에 의해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중국발 입국자 대상 방역 조치 강화에 대해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와 홍콩의 사망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국내 유입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무엇보다 중국발 방역 강화 조치는 한국만 감행한 것도 아니다. BBC 보도에 따르면 일본, 미국, 영국, 이스라엘, 인도 등 해외 여러 국가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했다. 중국 네티즌의 반응이 지나친 반한 감정 표출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송원진 한양대 중국경제통상융합전공 교수는 "인터넷상에선 본인의 의사를 드러내지 않는 사람이 많기에 온라인에서 나오는 반응이 그 집단을 대변한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아직은 중국 정부에서 '한국 물건 사지 말라'고 하는 상황이 아니다"고 진단했다.
다만 과거 중국 정부는 2016년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한 대응으로 한국 단체 관광 제한, 한국 대중문화 금지 조치(한한령) 등의 경제적 보복에 나선 바 있다. '외교적 갈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한국 내 중국인 관광객은 65% 감소했으며, 관광 손실은 192억 달러(한화로 약 24조원)에 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