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치매종합관리계획에 포함
2023년 도입 예정, 현재 '무소식'
대한치매학회 "수가 도입 시급해"

치매환자 가족의 심리 치료를 위한 상담수가 도입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2023년 도입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업무 공백, 다른 과와의 논의 등 이유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치매환자 /연합뉴스
치매환자 가족의 심리 치료를 위한 상담수가 도입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2023년 도입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업무 공백, 다른 과와의 논의 등 이유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치매환자 /연합뉴스

치매환자 가족의 심리 치료를 위한 상담수가 도입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2023년 도입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업무 공백, 다른 과와의 논의 등 이유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17일 대한치매학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제4차 치매종합관리계획(2021~2025)에 치매환자 상담수가 도입이 거론됐다. 2023년까지 도입하겠다는 내용이다. 

2021년까지 상담프로그램 운영모델 개발연구 완료, 2022년 수가 안 마련, 2023년에 상담수가를 최종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복지부 내에선 사실상 상담수가 도입 계획은 모두 멈춰선 상태로 알려졌다.

최호진 대한치매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상담수가 계획은 사실상 올스톱된 상황"이라며 "대한치매학회에선 도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복지부와 협의하는 등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신경과의사회와 치매학회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상담수가 도입을 적극적으로 촉구해 왔다. 다만 이들 단체에 따르면 현재 수가 도입에 대한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치매환자의 경우 타 진환과 달리 환자 보호자의 동행이 필수로 요구된다. 환자의 인지력 저하 때문인데 진료 시 복약지도·돌봄 기술·돌발상황 대응 요령 등 환자의 보호자가 모두 숙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 본인의 중증도 정도에 따라 삶의 질 변화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김기웅 서울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본지에 "신경질적으로 환자가 변할 수 있고, 판단력이 흐려짐에 따라 소리를 지르거나 사람을 공격하는 등 행동 양식이 정상인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한치매학회가 2018년 치매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환자 돌봄을 위해 직장을 그만둔 비율이 14%, 근무시간 단축 사례도 33%에 달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사한 치매환자 가족 설문 조사에서도 48%가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16.5%는 정서적 부담, 14.5%가 육체적 고통을 호소했다. 

치매환자 가족을 위한 상담 시스템이 하루 빨리 도입돼야 한다는 지적이 전문가 사이에서 나온다. 양동원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은 이달 13일 열린 대한치매학회 추계학술대회를 통해 "보호자는 보이지 않는 환자다. 가족이 처음 치매를 진단받은 경우 보호자의 대책 마련에 대한 정보는 제공받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치매학회는 치매환자 가족을 위한 심층 상담 프로그램을 준비해 하루 빨리 상담수가 도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타과와의 협의도 필요한 부분"이라며 "중단된 것이 아닌 절차상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