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4인, 권력구조 개편·안보관 공방
이재명 "尹, 하고 있는 걸 왜 공약하나"
"박근혜는 중범죄자?"… 尹 "검사 소임했다"

여야 대선후보 4인이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두 번째 법정 TV토론회에서 정치·안보를 주제로 공방을 벌였다.
이날 서울 상암 SBS 프리즘타워 공개홀에서 열린 TV토론회에서 첫 번째 공통질문인 '권력구조 개편'에 대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제외한 3명의 후보는 분권형 개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승자독식 사회를 이끈 35년 양당체제,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꿔야 한다"며 "대통령이 되면 개헌 이전이라도 권력분산을 위한 실천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도 "개헌을 통해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 대통령제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대통령에게 너무 많은 권한이 집중돼 계속 실패한 대통령이 나왔다"며 "결선 투표제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거대 양당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되니까 상대방이 잘못하면 자기한테 기회가 온다. 그래서 상대방 발목을 잡아 실패를 유도하고 그러면 기회가 오는 구조를 깨야 한다"며 "그래서 저는 우리 심, 안 후보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했다.
반면 윤 후보는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국회의원) 3선 이상 금지한다는 등 이런 건 어떻게 보면 정치쇼에 가까운 제안"이라며 "저는 대통령제에 관해서 대통령이 할 일, 총리가 할 일, 장관이 할 일을 딱딱 구분 짓고, 대통령은 대통령이 해야 될 일에서만 분권형으로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외교 안보 분야 토론 시간에서 이 후보는 윤 후보가 공약한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 공약을 두고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를 여전히 주장하나"라고 공세를 펼쳤고, 윤 후보는 "그런 주장을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일축했다.
이 후보는 "윤 후보께서 새롭게 포괄적 안보동맹으로 가야 한다면서 내세운 두 가지가 이미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에 들어 있다"며 "그런 게 많으시다. 이미 구직 앱이 있는데 구직 앱을 만들겠다고 한다. 하고 있는 걸 왜 또 하느냐"고 물었다.
이어 "NSC(국가안전보장회의)를 이미 했는데 'NSC 회의 하라'고 주장하신 것도 봤다"며 "시중에 이런 얘기가 있는데 우리 윤 후보님을 '빙하 타고 온 둘리 같다'고 혹시 들어보셨느냐"고 비꼬았다.
이에 윤 후보는 "정상적인 질문을 하시라. 팩트에 근거해서"라고 맞받았다.
대선후보 4인은 '정치보복'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윤 후보는 "정치 보복을 할 거냐"는 안 후보의 물음에 "보복하면 국민들이 가만히 놔 두겠나. 결국은 공정한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가 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재명 후보와 심상정 후보도 정치보복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안 후보는 "지금 말씀을 들어보니까 이 부분에 대해서 저 포함 4명의 후보 모두 뜻을 같이 하시는 것 같다"며 "사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정치보복 금지 대국민 선언을 함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심 후보는 윤 후보에게 박근혜 전 대통령과 관련 "부당한 정치탄압인가, 중범죄자인가"라고 양자택일을 요구했다.
윤 후보는 "저는 검사로서 제가 맡은 일을 한 것"이라며 "거기에 대한 평가를 다른 분들이 어떻게 하신다고 해도 검사는 공소장으로 말한다"고 했다.
심 후보가 분명한 입장을 재차 묻자 윤 후보는 "제가 처리했던 일"이라고 했다. 이어 "정치에 발을 디뎠다고 해도 처리한 사건과 관련해서 이렇게 저렇게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사면하는 것이 맞나"라는 심 후보 질문에 "안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마무리 발언에서 안 후보는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발언을 인용하며 양당 독점 정치를 비판했고, 심 후보는 공군 성폭력 피해자인 고 이예람 중사를 언급하며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 후보는 대북 선제타격론을 비판하며 "평화가 경제고 평화가 밥"이라고 했고, 윤 후보는 "말 뿐인, 또 종이와 잉크로만 돼 있는 협약서라든지 선언문을 갖고 절대 평화가 유지될 수 없다"며 힘에 의한 전쟁 억지력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