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예약 불능 안치료·원정 이동까지
유족 93% 화장 선택···수도권 27%만 수용
진료·보험 처리 지연, 행정 혼선도 유족 몫

“아버지 발인을 오늘 하려 했는데 예약이 안 잡힙니다. 안치실을 하루 더 써야 한다고 합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이 멈추면서 유가족이 전국 화장장에 직접 전화를 걸어 빈자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29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복지로가 차단됐고 진료기록 전송지원시스템, 질병청 방역통합정보시스템도 마비됐다.
특히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이 중단되면서 장례 절차에 제동이 걸렸다. 수도권은 전국 화장로의 27%에 불과해 원래도 경쟁이 치열하다. 이번 사태로 충청·강원 등 원정 화장이 불가피해졌다는 것.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은 화장시설을 상업적 목적으로 다수 선점 예약하거나 무단 취소하는 이들로 인해 실수요자(유족)가 불편을 겪는 일을 막고자 만들어진 ‘화장 예약 단일화 창구’다.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에 접속하면 원하는 시간과 화장시설을 골라 예약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복지부가 구축했으며 2013년 5월부터 한국장례문화진흥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현재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이 막히면서 유족 불편이 잇따르고 있다. 운구차량 비용과 이동 시간 부담뿐만 아니라 진료기록 전송이 막히면 CD나 USB를 들고 직접 옮겨야 해 치료 지연과 보험금 청구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례와 동시에 복지급여를 신청해야 하는 경우도 복지로 접속 불가로 구청을 직접 찾아야 한다.
2023년 기준 국내 화장률은 92.9%(32만7374명)다. 수도권 공급은 여전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 시스템이 멈추자 일부 유족들은 화장장마다 빈 자리를 수소문해야 했고 원하는 날짜를 잡지 못하면 장례 일정 전체가 늘어지는 상황도 발생했다. 화장 예약 창구가 해당 시스템으로 단일화된 만큼, 전국 화장시설 온라인 예약 불가에 따른 불편이 예상된다.
보건 분야 피해도 크다. 질병청은 제1급 감염병과 원인불명 감염병 신고를 유선으로 받고 있다.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은 중단됐다. 복지급여 신청 역시 차질을 빚었으나 9월분 급여는 이미 지급됐다는 게 복지부 설명이다.
복지부는 지난 26일 한국장례문화진흥원 홈페이지에 ‘긴급’ 공지를 올리고 “e하늘 장사시스템이 복구될 때까지 유선 등으로 화장 예약을 신청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