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장관 이어 ‘원전 선긋기’ 쐐기
“재생에너지로 전력 수급 대응” 강조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엔 지지 입장

이재명 대통령이 원전으로는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지 못한다며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대대적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틀 전 김성환 환경부 장관에 이어 이 대통령이 원전을 늘리지 않겠다는 뜻에 쐐기를 박으면서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1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 가능성에 선을 긋고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건설을 강조했다.
지난 9일 원전 2기 신규건설 재검토를 시사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라 사실상 정부가 내부적인 논의로 에너지 정책 기조를 굳혔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센터 등에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니 원전을 짓자고 하는데 기본적인 맹점이 있다”며 “원전을 짓는데 최소 15년이 걸리고 지을 곳도 지으려다가 중단한 한 곳 빼고는 없다”고 말했다.
또 “소형모듈원자로(SMR)은 기술 개발도 안 됐다”며 “지금 시작해도 10년 지나 지을까 말까인데 그게 대책인가”라고 말했다. 이어 “안전성이 담보되고 부지가 있으면 짓겠지만 내가 보기에는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대통령은 미래 에너지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방법은 태양광과 풍력”이라며 “1∼2년이면 되는 태양광과 풍력을 대대적으로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믹스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원전도 있는 거는 쓰고 가동 기간이 지난 것도 안전성이 담보되면 연장해서 쓰고,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쓰는 에너지 믹스 정책은 변한 게 없다”고 했다.
내달 1일 출범할 예정인 기후에너지환경부를 두고 대표적인 '규제 부처'인 환경부가 에너지정책을 담당하면서 '산업 진흥' 역할을 제대로 못 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에너지 분야는 부처 내부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간을 절약하고 낫다”며 “다른 부처가 돼서 서로 말도 안 하는 것보다 한 부처에서 갑론을박해 정책을 결정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 탈원전 아니라며 신규 원전 재판단?···환경장관의 궤변
- 기후에너지환경부 개편에···발전5사에 안겨진 숙제 가득
- 새 정부 조직 확정 코앞인데···'기후에너지부' 이견 여전
-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감감'···농축우라늄 공급 확대 계약만
- 한미, 조선·원전·항공 등 11건 계약·MOU···제조업 파트너십 ‘강화’
- 빌게이츠에 'SMR 강자' 된다더니···"차세대 i-SMR 기술도 사라질판"
- '원전 뚝심' 산업부, OECD 회의서 'SMR 상용화 촉진' 논의
- 세계는 원전으로 질주하는데···한국만 태양광·풍력 역주행
- 태양광 한국 점유율 4%로 추락···한화도 中에 먹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