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12명 중 2명 인하 주장···1명 불참
전문가 "신산업 덕에 급격한 침체 없을 것"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0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AP=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0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AP=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0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올해 들어 다섯 번 연속 동결로 인플레이션과 성장률 사이에서 신중한 기조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연내 한두 차례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는 가운데 이 경우 한국도 자본 유출 압력에서 다소 벗어나 통화정책 설정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30일(현지 시각) 개최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총 12명의 위원 중 제롬 파월 의장을 포함해 9명이 동결에 찬성했다. 미셸 보먼, 크리스토퍼 월러 위원은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고 아드리아나 쿠글러 위원은 불참했다. 한미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2.00%포인트로 유지됐다.

금리 인하를 둘러싼 정치적 압박이 거센 상황이었으나 연준은 기존의 기조를 고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다"며 연준의 금리 인하를 거듭 촉구했고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그러나 연준은 "노동시장은 견조하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이지만 인플레이션과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며 물가 안정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문가는 이번 결정을 '데이터 기반의 균형 판단'으로 해석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본지 통화에서 "AI 등 신산업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미국 경제가 급격한 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현 상황이라면 연내 남은 세 차례 FOMC 중 한두 번 정도는 0.25%포인트씩 인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하할 경우 한국 경제에도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통상 미국의 금리 인하는 달러 강세를 완화시켜 원화 약세 압력을 줄이고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을 낮춘다. 이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하지 않고도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김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환율이나 투자 측면에서 한국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전제는 물가 안정과 경기 연착륙이 병행될 경우에 한한다"고 했다.

시장에서도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올해 말까지 최소 한 차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을 50%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경제 지표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며 구체적인 인하 시점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연준의 관망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를 당분간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성경제신문 허아은 기자 ahgentum@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