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러트닉 상무장관 회담 발언  
대통령실 "양국 조선 협력 방안 고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24, 25일(현지 시간) 이틀간 면담을 갖고 한미 관세협상 진전과 산업 분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24, 25일(현지 시간) 이틀간 면담을 갖고 한미 관세협상 진전과 산업 분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미 통상협상을 위해 미국에 체류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러트닉 상무장관과 가진 한미 상무장관 회담에서 조선 분야에 대한 미국 측의 높은 관심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정부부처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5일(현지 시간)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진행한 2차 협상을 이날 늦은 밤 마무리했다. 지난 양국 산업장관은 24일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협상을 벌인 뒤 이날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으로 장소를 옮겨 협상을 이어갔다.

김 장관은 대통령실에서 열린 통상대책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24일 첫 협상보다 25일 진전된 수정안을 제시했다. 대미 투자, 소고기·쌀을 포함한 농축산물 개방 범위 등 주요 쟁점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러트닉 장관이 한국 측에 더 많은 양보를 요구하면서 협상 타결 수준에 접근하진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김 장관은 이날 추가 협의 결과를 본국에 보고했고 대통령실은 26일 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 회의를 열어 관세 협상을 위한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우리 측은 미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해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주 중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각각 미국 베선트 재무장관과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나기로 예정돼 있는 만큼 남은 협상 시한 동안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장관은 당초 25일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현지에 남아 협상단을 이끌고 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