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접속 대기 전력 8.9GW
전력 생산해도 수요지 보낼 방법 없어
사용 못하는 전기 97%가 태양광

전국적으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설비가 폭증했지만 이 중 송전망 부족 등으로 전력망 접속을 못 한 채 대기 중인 ‘접속 대기 전력’이 8.9기가와트(GW)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설비용량 1GW 규모 한빛원전 9기와 맞먹는 막대한 전력량이다.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에너지 정책을 공약화했던 이재명 정부의 계획이 차질을 빚을 확률이 높아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전국의 재생에너지 접속 신청 용량은 35.8GW다. 이 가운데 접속 완료는 26.9GW, 접속 대기는 8.9GW로 파악됐다.
‘접속’은 생산한 전기를 계통에 흘려보내 판매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반면 접속 대기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준비는 됐지만 송전망 병목으로 사실상 버려지는 전력이라는 의미다. 접속 대기 물량의 97%는 태양광 발전이라는 게 한전 설명이다.
특히 접속 대기 현상이 가장 심각한 지역은 태양광발전소가 몰린 광주·전남(2.4GW)과 전북(1.8GW)으로 전체 접속 대기 전력의 절반가량이 호남권에 몰린 것이다. 이 지역은 재생에너지 발전이 넘쳐 올 봄철(3월 1일~6월 1일) 총 19일, 닷새에 한 번꼴로 멀쩡한 원전 가동률을 낮추는 감발(減發)까지 실시했다.
전국의 접속 대기 전력 설비 대부분은 박근혜 정부가 도입하고 문재인 정부가 강하게 추진한 ‘1메가와트(MW) 이하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의 전력망 접속 무제한 보장’ 정책에 따라 무더기로 투자한 설비다. 전국적으로는 경북(1.1GW)과 강원(0.6GW), 대전·세종·충남(0.6GW), 대구(0.5GW), 경남(0.5GW) 등의 접속 대기 규모도 큰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전력망 확충이라는 근본 대책이 없다면 RE100산단, 햇빛연금 같은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전환 공약도 구호에 그치는 것을 넘어, 현재의 재생에너지 병목 현상을 되레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한전은 지난 5월 ‘2038년까지 전력망 확충에 72조8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재원 조달 우려가 큰 것이 현실이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이 대통령의 재생에너지 관련 공약 대부분은 전력망 확충이 전제될 때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 김정관 산업장관 후보자 "반도체·이차전지 생산세액공제 도입"
- 김성환 후보자 “재생에너지와 원전 적절히 믹스할 것···모호하지 않게 추진”
- “집만 지어선 못 버틴다”···경기침체에 에너지사업 눈돌린 건설사들
- 현대건설 등 ‘팀코리아’, 美 텍사스에 여의도 4배 태양광 착공
- 태양광 예정대로 깔려면 ‘여의도 154배’ 땅 필요···재검토 목소리↑
- 오픈AI, 본격 '돈 버는 AI'로 간다···"수익화 시대 개막"
- AI 메모리에 날개 단 SK하이닉스···2분기 영업익 '9조 잭팟'
- AI 전력확보 분초 다투는데···‘SMR 부지 선정’ 왜 자꾸 늦어지나
- 태양광 늘릴수록 국내업체 줄폐업, 왜?···“중국산이 싹쓸이”
- 에너지고속도로 깐다면서 전기요금 묶어둔 정부···한전만 빚더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