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가족·민생 ‘실무형 리더십’ 요구
행정·복지·경제 전문가 두루 검토 중
출산·고령화·1인가구 정책 대응 중책
"행정 아닌 통합 설계 요구되는 자리"

고연호 대표는 이화여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여성운동, 무역·경제 실무를 두루 경험한 인사로, 여성경제인협회 창립 멤버로 활동한 바 있다. /여성경제신문DB
고연호 대표는 이화여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여성운동, 무역·경제 실무를 두루 경험한 인사로, 여성경제인협회 창립 멤버로 활동한 바 있다. /여성경제신문DB

이재명 정부가 ‘여성가족부’를 대체할 새 조직으로 ‘성평등가족부’ 출범을 공식화한 가운데 초대 장관 인선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부처 명칭 교체를 넘어 정책 기능의 대전환을 목표한 만큼 ‘정무’보다 ‘실무’ 경험 을 중시하는 인사 원칙이 관건이라는 평가다.

19일 여권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 사회1분과는 최근 여성가족부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성평등가족부로의 조직 개편안을 보고받고 구체적 이행 일정을 논의했다. 논의의 핵심은 부처 명칭 변경이나 정체성 재정립에 머무르지 않고 생애주기별 가족 정책을 위한 정부 기능 재설계다.

정책 방향은 명확하다. 출산율 저하, 초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다문화 가족, 청소년 복지 공백 등 복합적 사회 문제를 단편적으로 나누기보다, 통합적 체계로 묶어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대 장관은 젠더 이슈를 넘어 복지, 경제, 지방분권을 아우르는 조율력과 실행력을 갖춘 인물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의 의중은 장관의 성별보다는 의제 간 조율 능력에 있다”며 “복잡한 삶의 문제를 현장에서 읽고 실행으로 이어갈 수 있는 복합형 실무 인재가 유력하게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인선 후보군에는 여성운동가, 전직 행정관료, 복지전문가, 시민사회 출신, 지역자치 경험자 등 다양한 인물들이 오르내리고 있다.

특히 정치권 안팎에서는 실무형 민생 메시지를 꾸준히 제시해온 인물로 고연호 12.3민주연대 대표도 주목받고 있다. 고 대표는 이화여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여성운동, 무역·경제 실무를 두루 경험한 인사로, 여성경제인협회 창립 멤버로 활동한 바 있다.

고 대표는 최근 “출산·보육 정책은 금융과 복지정책이 결합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신혼부부 대출 탕감이나 일시보육제 확대 등 현실적 민생정책을 강조해왔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캠프에서는 시민플랫폼본부장을 맡아 민생 중심 메시지 기획을 총괄한 이력도 있다.

다만 특정 인물에 무게추가 쏠리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다. 행정 경험, 조직개편 대응력, 정치적 중립성 등 다층적인 검토 기준이 작동하는 만큼, 복지 행정을 설계한 관료 출신이나 지방정부 실무 경험이 풍부한 인사들도 유력한 카드로 거론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인선은 상징성보다 실질적 정책 집행 능력이 더 중요하다"며 "젠더 이슈와 민생 과제를 통합적으로 엮어낼 수 있는 실행형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기획위원회는 성평등가족부 신설과 함께 △양성평등위원회 제도 개편 △이주여성·청소년 대상 사회안전망 강화 △청년의 가족 진입단계에 대한 지원책 등을 새 부처가 직접 설계하고 집행할 것을 여성가족부에 주문한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성평등은 곧 지속가능한 미래”라며 생애주기별 정책 시스템을 국정 철학의 축으로 제시해왔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