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몇 년 새 점심값이 눈에 띄게 오르면서 ‘런치플레이션(Lunchflation)’ 현상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외식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 100에서 올해 5월 124.56으로 24.6%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인 16%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약 1.5배에 이른다.
외식 품목별로 보면 김밥이 38%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햄버거(37%)가 뒤를 이었다. 떡볶이, 짜장면, 라면, 갈비탕 등도 30% 넘게 가격이 올랐고, 냉면, 된장찌개, 삼겹살 등 20% 이상 오른 품목 역시 30개에 달해 전체 외식 품목의 약 77%를 차지했다. 구내식당 식사비 역시 같은 기간 24% 상승했다. 반면 소주 등 4개 품목만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낮은 오름폭을 보였다.
외식 물가 급등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식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이 꼽힌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5년 새 22% 올랐고, 가공식품 가격도 24% 상승했다. 특히 밀가루, 치즈, 설탕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고환율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동시에 인상되며 외식업계에 부담을 안겼다.
배달비 부담도 외식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배달 앱 수수료 인상과 함께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가 확산됐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 도시락 업체들이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이후 도시락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11.1%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커피 전문점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도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스타벅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등은 올해 초부터 커피값을 올렸고,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역시 지난해에 이어 올해 3월 원자재와 환율 상승을 이유로 재차 가격을 인상했다.
전문가들은 외식 물가 상승세를 완화하려면 단기적인 가격 안정 대책뿐 아니라 유통구조 효율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중장기 대응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