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 3사 대선 출구조사 결과
이재명 51.7%,김문수 39.3%,이준석 7.7%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3일 국회의원회관 개표상황실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후보가 51.7%로 앞서는 것으로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과반의 득표율을 얻어 승리할 것으로 예측되자, 민주당 개표상황실에서는 기쁨의 함성과 박수가 쏟아졌다. 

3일 오후 8시 KBS·MBC·SBS 등 지상파 방송 3사의 대선 출구조사 결과, 이재명 후보의 예측 득표율은 51.7%로 나타났다. 이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39.3%)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7.7%)가 뒤를 이었다.

출구조사 결과 이재명 후보는 서울․경기를 포함해 전국 12곳(서울, 경기, 인천, 울산, 광주, 전남, 전북, 대전, 충남․세종, 충북, 강원, 제주)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후보는 대구․경북 등 4개 지역(대구, 경북, 부산, 경남)에서 앞섰다.

연령 및 성별 기준으로는 이재명 후보가 20대 여성, 30대, 40대, 50대에서 앞섰다. 김문수 후보는 60대 여성, 70세 이상에서 득표율이 높았다. 20대 남성에서는 이준석 후보(37.2%)와 김문수 후보(36.9%)가 오차범위 안에서 다퉜고, 60대 남성에서는 이재명 후보(48.6%)와 김문수 후보(47.7%)가 접전을 펼쳤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3일 국회의원회관 개표상황실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후보가 51.7%로 앞서는 것으로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이재명 후보의 예측 득표율이 김문수 후보에 두 자릿수로 앞선다는 결과가 발표되자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는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민주당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 등 참석자들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박수와 함께 함성을 쏟아내며, '이재명'을 연신 외쳤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은 이 같은 출구 조사 결과에 "주권자 국민께서 내란 정권에 대한 불호령 같은 심판을 내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상임 총괄선대위원장을 비롯한 공동선대위원장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1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 발표가 나오자 기뻐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3일 국회의원회관 개표상황실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후보가 51.7%로 앞서는 것으로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박 위원장은 출구 조사 결과 발표 직후 KBS와 인터뷰에서 "출구 조사이기 때문에 예측이긴 하지만, 당선 유력이 확실히 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국민의 심판이 무엇인지, 국민의 판단이 무엇인지 판단해보겠다"고 말했다.

'이번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그 요인이 무엇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는 "국민께서 윤석열 정권과 내란 세력에 대한 심판 투표를 한 것,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파탄 났던 민생과 폭망한 경제를 회복시켜달라는 열망이 이재명 후보에게 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만약 출구 조사 결과대로 이재명 후보가 승리한다면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와 함께 국민의 중요한 명령을 받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구 조사 발표 이후 이 후보에게서 메시지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따로 들은 말은 없다"며 "곧 이 후보께서 직접 입장을 밝히실 것"이라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3일 국회의원회관 개표상황실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후보가 51.7%로 앞서는 것으로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한편 출구조사는 금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국 325여 개 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유권자 8만1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또 전투표자 예측을 위해 별도로 1만15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해 보강했다. 이번 출구조사 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 ±0.8%포인트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