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부산 이전 놓고 시각차
정치권 공방 속 실현 가능성 쟁점화
전문가 “기능 분산 절충안 필요”

부산을 찾은 대선 후보들이 산업은행 이전을 둘러싸고 각기 다른 시각을 드러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핵심 공약으로 강조하며 법안 추진을 예고한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현실적 어려움을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15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산업은행 이전 문제는 부산 민심을 자극할 주요 지역 의제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양측 후보의 발언 수위가 높아지면서 단일 사안이 지역공약을 넘어 정치적 공방의 쟁점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김문수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를 찾아 산업은행 이전 부지를 둘러본 뒤 “대통령이 되고 국회가 열리면 첫 번째로 산업은행 부산 이전 법안을 요청하겠다”며 “대법원도 옮기라고 하면서 산업은행은 안 되는 이유를 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후 부산시당 선대위 출정식에서는 “한국전력도 나주로 옮기고 한국토지주택공사도 진주로 다 옮겼다. 산업은행도 못 옮길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발언했다.
반면 이재명 후보는 14일 부산 서면 유세에서 “(민주당 측) 사람들이 이 얘기는 절대 하지 말라고 했는데 해야겠다.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하면 좋지만 세상일이라는 게 한쪽이 원한다고 일방적으로 되는 게 아니다”라며 “그렇게 쉬운 일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3년 동안 말만 하고는 뭘 했나”라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도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서울의 한국은행부터 산업은행, 주택은행 싹 다 부산에 갖다주면 좋겠지만 그게 되겠나”라며 “그렇다고 불가능한 약속을 제가 속여서 할 수가 있나”라고 말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 범어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후보의 산업은행 이전 입장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산업은행 이전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다 여론 부담을 의식해 해양수산부와 HMM 이전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여성경제신문은 앞서 [깐팩] 코너를 통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 논의가'지역균형 발전이라는 정책적 지향”과 “조직 효율성이라는 실무적 고려”가 맞물리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균형발전이라는 상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실제 이전 시 조직 재편과 인력 이탈 등 실무적 한계가 뚜렷하다는 점에서 정치권 논의와 현장의 시각 간 간극이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일반적으로 정책 차원의 이전 결정과 조직 내부의 수용 가능성은 구조적으로 엇갈리는 경우가 많고, 국책은행처럼 고도의 전문성과 집적성이 요구되는 기관일수록 이전 효과와 부작용 간 평가가 갈린다.
이처럼 이전 논의가 정치적 공방을 넘어 실현 가능성에 대한 검토로 이어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현실적 제약을 고려한 절충안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오정근 자유시장연구원장·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은 여성경제신문에 “현실적인 대안을 생각해보면 서울과 부산에 필요한 기능을 나눠 배치하는 것 등이 있다”며 “예를 들어 항만 금융처럼 부산에서 발달된 분야는 그쪽으로 이전하는 방식이 절충안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여성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syeon0213@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