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순 출고 예정 '아토3' 3~4월로 연기
환경부 보조금 지급 요건 강화, SoC 미탑재
SK렌터카 "도입 계획 없다" B2B 전략 차질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 가능성 배제 못 해"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중국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전기차 아토 3 등 차량이 공개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중국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전기차 아토 3 등 차량이 공개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첫 국내 출시 모델인 준중형 전기 SUV '아토3'가 보조금 미확정으로 출시가 지연되면서 사전 계약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국내 중국차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우회 전략이었던 렌터카와의 기업 간 거래(B2B)도 난항을 겪으며 BYD의 국내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5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BYD 코리아는 지난 1월 16일 브랜드 출범 행사에서 아토3의 사전 계약을 시작해 일주일 만에 계약 대수가 1000대를 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2월 중순 출고 예정이었던 차량의 보조금 책정이 지연되면서 일각에서는 유럽과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어려워지자 한국 출시를 무리하게 추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BYD 코리아는 보조금 확정을 위한 기초 정보를 지난달 28일 제출했다. 이는 사전 계약자들에게 차량 인도를 약속한 날짜를 넘긴 시점으로 자료 제출이 늦어진 이유는 올해부터 강화된 국내 보조금 지급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해 제조물 책임보험 가입 및 배터리 충전량 정보(SoC) 기능 탑재를 보조금 지급 요건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아토3에는 SoC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 BYD 코리아는 '1년 이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기능을 추가하겠다'는 확약서를 환경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환경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토3는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현재 출고가는 3000만원 초반대로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이 적용되면 2900만원대로 낮아진다.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BYD 코리아가 제시한 2000만원 후반대 가격은 실현 불가능해진다.

BYD 코리아 관계자는 "현재로선 구체적인 인도 시점을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최대한 3월 내 출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보조금 확정 이후에도 산업부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고시 절차를 감안하면 실제 차량 인도는 이르면 3월 말에서 4월 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기차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 사전 계약 구매자는 "정확한 인도 시기도 모르고 계속 기다려야 한다는 게 답답하다"며 "제대로 된 사과문 발표나 보상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시 연기가 이어지면서 지자체 보조금 축소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며 예약을 취소하는 소비자들도 나오고 있다. 

보조금 문제와 함께 BYD의 B2B 전략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BYD 코리아
보조금 문제와 함께 BYD의 B2B 전략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BYD 코리아

보조금 문제와 함께 BYD의 B2B 전략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애초부터 국내에서 중국차에 대한 불신과 전기차 화재 우려로 기업과 고객 간 거래(B2C) 시장에서 어려움을 예상했던 BYD는 렌터카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한국 전기차 시장에 점진적으로 자리 잡으려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

케이카(K Car)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BYD, 지커, 샤오미 등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국내 진출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자는 11.6%에 불과한 반면 부정적인 응답자는 51.8%에 달했다. 부정적인 이유로는 '품질 및 내구성 우려'(63.8%), '안정성 의문'(54.4%) 등이 꼽혀 여전히 국내 소비자들의 중국차에 대한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BYD의 초기 전략이 순탄치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일부 업체들은 BYD와의 계약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앞서 '중국계 자본' 루머에 휩싸였던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는 여성경제신문에 "BYD 및 중국계 자동차 완성차업체(OEM)와 공식적인 미팅이나 접촉을 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 구매 계획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BYD의 보조금 미확정이 BYD 자체 문제인지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의 작용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SOC 기능이 부족하더라도 20~30만원 정도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음에도 전면 배제하는 것은 과도한 규제"라고 말했다.

이어 렌터카 업계의 B2B 전략과 관련해 그는 "렌터카 시장 1, 2위를 차지하는 SK렌터카가 중국차 매입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은 큰 변수이며 렌터카 시장에서는 출구 전략이 마땅치 않아 보인다"면서도 "택시 업계는 BYD 차량 도입에 관심을 보이며 협의에 나서고 있어 B2B 전략이 렌터카보다 택시 업계를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