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영업이익 역대 최고 신기록
HBM, 전체 D램 매출 40% 이상
고객 요구 충족, 제품 적시 공급
기술 개발·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

SK하이닉스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23일 SK하이닉스는 실적 발표에서 2024년 연간 매출 66조1930억원,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영업이익률 35%), 순이익 19조7969억원(순이익률 30%)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매출 44조6216억원을 21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 역시 2018년 메모리 초호황기의 20조8437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2% 증가한 19조7670억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8조828억원(영업이익률 41%)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순이익은 8조65억원(순이익률 41%)으로 집계됐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강세와 업계 최고 수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력, 수익성 중심 경영 전략이 이번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HBM이 4분기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기업용 SSD(eSSD) 판매도 지속적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또한 "메모리 시장이 고성능·고품질 중심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고객 요구에 맞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경쟁력이 안정적인 이익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번 실적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 같은 실적 개선으로 SK하이닉스의 2024년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은 14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조2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차입금은 6조8000억원 감소한 22조7000억원으로 집계되며 재무 안정성이 크게 개선됐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HBM을 중심으로 한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크기는 미니, 기능은 맥스"···SK매직 초소형 직수 정수기 인기
- "드릴 베이비 드릴" 석유 붐 외친 트럼프···정유업계 기대반 우려반
- '뒤처지면 끝난다'···최태원, CES 2025서 AI 주권 확보 외쳐
-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하락전환···젠슨 황 한마디에 '출렁'
- 드디어 베일 벗은 갤럭시 S25···AI 최적화의 '정점' 선봬
- LG전자, 가전·전장 카드로 87조 신기록···영업이익은 '주춤'
- '고부가가치 전략' 통했다···현대모비스, 작년 영업익 3조 돌파
- 삼성전기, 창사 이래 매출 10조 돌파···'성장 엔진' 가동
- 한·미·일 AI 동맹 본격화···이재용까지 뛰어든 '공급망' 전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