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제43대 의협 기자간담회 개최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 부회장 임명
김택우 "의대 교육 정상화 가장 중요"
박단 "같은 목적으로 함께 방안 모색"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신임 회장이 정부에 2025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또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부회장으로 임명하는 등 전공의와 의대생이 의료사태의 주축임을 강조했다.
16일 김택우 의협회장은 의협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대 교육 정상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정부의 마스터플랜 제시 전까진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새 집행부 구성이 완료됐다.
김 회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지금의 의료 대란 사태를 해결하고 의료계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의대 교육의 정상화다. 취임 일성으로 밝혔듯이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한 논의에 앞서 반드시 2025년도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마스터 플랜을 제시하라"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지금 이 상태로는 도저히 의대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해 명확한 계획과 방침을 마련하고 공표해야 의료계도 2026년 의대 정원 문제를 포함한 의대 교육 계획을 논의할 수가 있다"며 "저와 제43대 집행부는 의료대란 사태 해결과 대한민국 의료 환경 정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날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부회장으로 임명하는 등 전공의와 의대생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의협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적의 인선을 완료했다"며 "의료 사태의 당사자 격인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대한 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을 부회장으로 임명했고, 젊은 의사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했다"고 말했다.
내년도 정원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의견을 절충하는 방안이 있냐는 질문에는 "의대 교육을 어떻게 정상화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하다. 현재는 실질적 교육이 불가능한 상태다. 정부의 교육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제시되면 그것부터 보겠다"라고 답했다.
의정 협의체 등을 구성해 정부와 대화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처럼 일방적인 형태로 구성되고 결정되는 협의체는 불필요하고 거기에 참여하는 것도 옳지 않다"며 "의개특위가 추진하는 현 정책들은 중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한 논의다. 전면 중단돼야 한다"라고 했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간담회가 끝난 후 기자들에게 "현 사태에서 의대 교육은 절대 불가능하다"라고 강조하며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계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고 현 사태를 만든 정부가 그에 대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라고 했다. 이어 "의협 집행부 내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지 고민하며 같은 목적을 가지고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전공의 복귀 여부에 대한 전수조사 계획은 당장 없다. 전공의들의 목소리는 취합하고 있다. 발표하는 방식은 더 고민해 볼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