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보조금 내년 100만원 ↓
현대차·기아, 역대 최대 규모 리콜 기록
토요타, 1000만원대 전기차로 저가 공세
소비자, 보조금 vs 완성도 "선택의 기로"

올해 전기차 업계가 보조금 축소, 리콜 사태, 글로벌 저가 경쟁 등으로 큰 변화를 겪으며 내년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테슬라 Inc. 공식 홈페이지
올해 전기차 업계가 보조금 축소, 리콜 사태, 글로벌 저가 경쟁 등으로 큰 변화를 겪으며 내년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테슬라 Inc. 공식 홈페이지

올해 전기차 업계가 보조금 축소, 리콜 사태, 글로벌 저가 경쟁 등으로 큰 변화를 겪으며 내년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24일 환경부와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내년 전기차 보조금을 1월 초에 확정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와 올해 보조금 개편안이 2월로 늦어지면서 발생했던 '전기차 판매 절벽'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올해 보조금은 2월 6일 입법 예고 후 20일에 확정된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분석 결과 작년과 올해 1월 전기차 판매량은 각각 710대, 1653대였으나 2월에는 1만7848대와 3583대로 증가했다. 3월에는 각각 1만7066대와 2만225대를 기록하며 보조금 확정 이후 소비가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내년 전기차 보조금은 소폭 축소될 전망이다. 전기 승용차 국고 보조금 단가는 올해 4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5년까지 보조금을 전액 받을 수 있는 차량 가격 기준을 5500만원에서 5300만원 미만으로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자체 할인과 무이자 할부 등으로 수요를 유지할 방안을 모색 중이다.

올해 발생한 대규모 리콜 사태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3월 현대차와 기아의 아이오닉 5·6, EV6 등 16만9932대가 통합충전 제어장치(ICCU) 소프트웨어 오류로 리콜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전기차 리콜 사례로 기록됐다. ICCU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의 충전 및 전력 관리를 담당하는 핵심 전자 제어 장치다.

전기장치 결함 차량 수는 2010년대 후반 10만대 이하에서 2020년 18만7560대, 2021년 70만7088대를 거쳐 올해 120만2928대로 급증하며 신차 테스트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수입차도 예외는 아니다.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테슬라가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경고등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로 모델3, 모델Y, 사이버트럭 약 70만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7월에는 차량 후드가 주행 중 열리는 문제로 185만대를 리콜하는 등 다양한 결함으로 리콜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BYD도 조향장치 결함으로 전기차 9만7000대를 리콜한 바 있다.

중국 BYD는 내년 1월 국내 출시를 앞두고 본격적인 가격 경쟁을 주도할 전망이다. /BYD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
중국 BYD는 내년 1월 국내 출시를 앞두고 본격적인 가격 경쟁을 주도할 전망이다. /BYD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

내년 전기차 시장은 저가 모델 공세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중국 BYD는 내년 1월 국내 출시를 앞두고 본격적인 가격 경쟁을 주도할 전망이다. 특히 BYD 전기차는 테슬라가 내년 상반기 출시할 3만 달러 이하의 저가형 모델 '모델 Q'와 가격대가 겹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고급화 전략을 추구하던 일본 토요타도 저가형 모델을 선보이며 경쟁에 가세했다. 토요타는 중국 시장에서 10만 위안(약 1900만원)대 소형 전기 SUV bZ3X를 공개하고 내년 출시를 예고했다. 해당 모델의 국내 출시 가능성은 작지만 현대차가 이달 '다시 중국'을 외치며 중국 BAIC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에 총 10억9600만 달러를 투자해 양사 모두 중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문가는 전기차 보조금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소비자와 제조사가 각각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전기차 보조금은 국민 세금으로 지원되는 만큼 축소될 수밖에 없다"며 "전기차 시장의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해외 주요 국가에서도 보조금 지원이 자연스럽게 줄어들거나 종료되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비자는 보조금이 높은 시점에 구매할지 아니면 줄어든 보조금 대신 완성도가 높아진 전기차를 기다릴지 고민해야 한다"며 "완성차 제조사 역시 규모의 경쟁을 통해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는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가형 전기차 시장에 대한 국내 차 대응 방안에 김 교수는 "내년 중국 BYD나 테슬라 등 저가형 전기차 모델 출시에 비해 국내 제조사들은 상대적으로 저가 모델이 부족한 상황으로 새로운 전략과 제품 출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