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 수립 기업 49.7% 허리띠 졸라매
원가 절감, 인력 운용 합리화 고려 중

국내 주요 기업 중 절반이 내수 시장 부진과 수출 경기 둔화를 우려해 내년 긴축 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국내 주요 기업 중 절반이 내수 시장 부진과 수출 경기 둔화를 우려해 내년 긴축 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국내 주요 기업 중 절반이 내년 긴축 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시장 부진과 수출 경기 둔화 등이 예상되면서 기업들이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것이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0인 이상 기업 239사(응답 기업 기준)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을 대상으로 한 '2025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 결과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49.7%는 '긴축 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해(22.3%)와 올해(38.3%)에 견줘 긴축 경영 계획의 비중은 거듭 늘어나고 있다. 반면 '현상 유지'는 28.0%, '확대 경영'은 22.3%에 그쳤다.

특히 300인 이상 규모 기업에서는 '긴축 경영'을 계획한다는 응답이 61%로 나와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긴축 경영'으로 응답한 기업의 구체적인 시행계획은 '전사적 원가절감'(66.7%)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인력 운용 합리화'(52.6%), '신규 투자 축소'(25.6%) 순이었다.

투자 및 채용계획도 축소 혹은 현상 유지를 선택하는 기업이 대다수였다.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및 채용계획을 설문한 결과 투자계획은 '올해보다 축소(39.5%)'가 채용계획은 '올해 수준(44.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긴축 경영 계획이 늘어난 배경에는 기업들이 직면한 대내외적 경제 악재가 있다. 내년 기업 경영상 주된 애로 요인으로는 '내수 부진'(66.9%)과 '인건비 부담 가중'(64.0%) 응답이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 성장세 둔화'(19.7%),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16.3%) 순으로 집계됐다.

내년 1월 출범할 미국 트럼프 정부 정책이 우리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묻는 설문에서는 응답 기업 82.0%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답했다. '대중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으로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란 응답은 7.5%에 그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