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주요 보험사 경영진과 간담회 개최해
"IFRS17 신뢰회복 이정표···악용하지 말아야"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산정 모델 지정했지만
업계 "비현실적" 비판, 다른 모델 선택 가능성

11일 금융감독원은 '금리 하락기의 새로운 회계제도(IFRS17) 안정화 및 보험사 리스크 관리'를 주제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진 등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11일 금융감독원은 '금리 하락기의 새로운 회계제도(IFRS17) 안정화 및 보험사 리스크 관리'를 주제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진 등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무·저해지 상품의 해지율 가정을 위한 공통 모델을 발표한 가운데 일부 보험사가 예외 모델을 사용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자 금융감독원이 이에 관해 "우를 범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엄중히 경고했다.

11일 금융감독원은 '금리 하락기의 새로운 회계제도(IFRS17) 안정화 및 보험사 리스크 관리'를 주제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진 등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금감원 금융당국 및 생·손보업계 관계자가 참여했다.

이날 금감원은 일부 보험사가 무·저해지 보험 상품에 있어 금융당국이 제시한 공통 모델이 아닌 예외 모델을 사용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보험업권 신뢰회복의 이정표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당장의 실적 악화를 감추고자 예외 모형을 선택하는 우를 범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IFRS17 도입 이후 보험사가 단기납 종신보험 등 무·저해지 보험 상품을 활용해 실적을 부풀릴 수 있었다고 지적해 왔다. 이에 지난 7일에는 '로그-선형 모델'을 해지율 산출 공통 모델로 지정하고 회계 시 사용을 권고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로그-로그 모형 및 선형-로그 모형 활용도 예외적으로 허용하기로 하면서 다수 보험사가 예외 모델을 사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보험업계는 공통 모델이 현실보다 해지율을 지나치게 낮게 설정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국내 10개 손해보험사(삼성·DB·현대·KB·한화·롯데·NH·흥국·하나·MG)는 당국의 개편안에 반대하는 공동의견서를 제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날 금감원은 IFRS17이 단기실적 경쟁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아야 한다며 보험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관계자는 "근시안적 실적경쟁에 얽매여 IFRS17 원칙과 도입 취지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며 "올해 계도기간 내 모든 이슈가 정리될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을 다해달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