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부족과 접근성 문제, 해결법 제시
수의사 순환 진료, 중성화 수술 중요성

동물병원에서 진료 받는 강아지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동물병원에서 진료 받는 강아지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1500만명에 이르며 각 지자체가 저소득층을 위한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제도를 시행했지만 일부 지역의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24일 여성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 제도'는 반려동물 양육 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서울시, 경기도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다. 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정 등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동물 병원비는 보험 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보호자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반려견의 경우 종합 백신, 캔넬코프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광견병 백신 등 필수 예방접종을 받아야 하며 이는 큰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진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백신 예방 접종은 2차 접종까지 필요하며 비용은 종합 백신 2만5000원, 캔넬코프 백신 2만원, 인플루엔자 백신 3만5000원, 광견병 백신 2만5000원이다. 

푸른도시여가국 동물보호과 자료에서는 '우리동네 동물병원' 제도를 통해 2022년 1388마리, 2023년 1864마리의 진료비를 지원했다. 올해는 지정 동물병원이 94개에서 114개로 늘어나 접근성이 더욱 개선됐다.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지자체는 각종 반려동물 지원 사업을 운영 중이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영월, 평창, 횡성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신청 건수가 각각 2건에 그쳤으며 정선 등 몇몇 시군에서는 신청 사례가 전혀 없었다. 올해 강원도 전체 지원 건수는 250건에 불과해 타지역과 비교해도 낮은 실적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강원도의 지원 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홍보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했다. 지원 제도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많은 저소득층 보호자가 혜택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 지역의 경우 동물 병원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차량이 없는 고령층이나 저소득층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도 실적 저조의 원인으로 꼽힌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미디어를 통한 홍보가 가장 효과적이며 각 지역 방송을 통해 반려동물 의료지원 서비스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방의 경우 동물 병원 접근성이 낮아 수의료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며 "수의사가 지역을 순환하며 예방 접종이나 중성화 수술 같은 필수 서비스를 더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