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엔 기업가치 오르고 저평가 해소하지만
장기적 부정적 영향···고용·투자·배당 축소돼
"캠페인 성공에 유리한 환경 조성, 신중해야"

21일 한국경제인협회는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합뉴스
21일 한국경제인협회는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합뉴스

행동주의 펀드 캠페인이 성공한 기업의 경우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저평가가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한국경제인협회는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하고 행동주의 캠페인이 성공한 기업은 단기간에 기업가치가 일부 개선됐으나 장기적으로는 이전에 비해 기업가치가 하락했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지난 2000년 이후 행동주의 캠페인을 겪고 시총과 자산이 10억 달러(약 13조원) 이상인 미국 상장사 970개 사를 대상으로 캠페인 성공 여부에 따른 기업가치를 분석했다. 분석 대상 중 행동주의 캠페인이 성공한 기업은 549개였고 실패한 기업은 421개였다.

캠페인이 실패한 기업들 가치를 100으로 가정했을 때 캠페인에 성공한 기업은 3년 이내 기업가치가 83.9%에서 85.3%로 올랐으며 저평가도 일부 해소됐다. 그러나 캠페인 성공 4년 이후에는 기업가치가 다시 2.4%포인트 하락한 82.9%를 기록해 저평가가 심해졌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한경협은 "결국 행동주의 캠페인이 성공한 이후 장기적인 기업가치는 캠페인 성공 이전에 비해 1%포인트 악화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경협은 행동주의 캠페인이 성공할 경우 고용과 투자 축소로 이어져 기업 기반이 약화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행동주의 캠페인 성공 시 단기적으로 성공 전후 1년간 2년 동안 고용은 평균 3.0%, 자본적 지출은 평균 10.7% 감소했지만 장기적으로 고용은 5.6%, 자본적 지출은 8.4% 감소했다는 것이다.

배당도 단기간으로는 평균 14.9% 증가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 캠페인 성공 이전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한경협은 밝혔다.

최근 국회에서는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주주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등 지배구조 규제 법안 입법이 논의되고 있다. 해당 법안이 제정되면 행동주의 캠페인 성공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고 한경협은 풀이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경영권 방어에 천문학적인 자금과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본질적인 사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상법 개정 등 행동주의 펀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입법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