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회감지기 이용률 2.9%···전국 평균 밑돌아
신발깔창형 감지기ㆍ스마트태그 검토 시급

초고령사회로 치매 노인 실종 사례가 급증하는 가운데 실종 예방에 도움을 주는 '배회감지기'의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 장종태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치매 환자 실종 건수 1만 4677건으로 2019년 1만 2131건에 비해 21% 증가했다. 지난해 실종 치매 환자 중 83명은 숨진 채 발견됐고 실종자를 찾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도 2019년 8.0시간에서 지난해 8.2시간으로 늘었다.

'배회감지기'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결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주요 장비로 착용자의 위치와 동선을 파악해 일정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알림이나 긴급 호출을 전송하는 복지용구다. 이를 활용하면 실종자를 발견하는 시간을 1시간 내외로 단축할 수 있으나 이용률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과 인지 지원등급으로 판정된 수급자 중 배회감지기 사용률은 2019년 4.6%에서 지난해 2.9%로 감소했다. 2022년 기준 치매 환자 14만 9605명 중 배회감지기 이용자는 4293명에 그쳤다.
지역별 지난해 가장 높은 배회감지기 이용률은 강원도가 13.7%를 보였고 제주도는 0.2%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서울과 경기가 각각 1.7%의 이용률을 기록해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장 의원은 "치매 환자 실종은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특히 매년 폭염과 한파가 심해지는 근래 기후 변화 속에서는 실종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신속한 발견을 위해 신발 깔창형 배회감지기나 스마트태그 같은 새로운 위치 감자 방지의 도입을 검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