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보다 사용···24.2% 상속 포기
초고령사회 대비 복지 정책 추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휴식 취하는 노인들 사진.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휴식 취하는 노인들 사진. /연합뉴스

내년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이 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보건복지부는 노인들의 자산 활용 방식과 복지 수요 변화에 대한 대응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1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3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하기보다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노인의 비율이 24.2%로 증가했다. 이는 4명 중 1명이 상속 대신 자산을 직접 활용하겠다고 응답한 것이다.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하겠다'는 응답이 51.4%로 가장 많았으나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쓰겠다'는 비율은 2008년 9.2%에서 꾸준히 상승해 올해 처음으로 20%를 넘었다. 반면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상속을 많이 하겠다는 응답은 8.8%에 그쳤고 장남에게 더 많은 재산을 주겠다는 비율도 2008년 21.3%에서 지난해 6.5%로 감소했다.

노인들의 재산 현황과 생활 수준에 대한 정보도 확인됐다.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원, 개인 소득은 2164만원, 금융자산은 4912만원, 부동산 자산은 3억1817만원으로 모든 항목이 2020년 조사 대비 대폭 증가했다. 

교육 수준 역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 비율이 2020년 28.4% 대비 2.8%p가 늘어난 31.2% 증가했으며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9% 대비 1.1%p가 늘어난 7.0%로 나타났다.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늘어나 39.0%를 기록했다. 노인들의 디지털 기기 사용 또한 2023년 스마트본 보유율 76.6%로 확대되고 있다.

노인들이 스스로를 '노인'으로 인식하는 연령은 평균 71.6세로 조사됐으며 전체 응답자 중 79.1%는 70세 이상을 노인의 기준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독거노인 가구의 경우 여러 면에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하다'고 답한 비율이 34.2%로 노인 부부 가구의 48.6%보다 낮았다. 우울 증상, 영양 관리, 생활상의 어려움 등에서 다른 가구 형태보다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노년층의 소비력과 의료·복지 수요, 1인 가구 증가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춰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2025년까지 관련 정책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1월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 78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방식으로 조사해 진행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