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내부통제·가계부채에 초점
횡령·배임·부당대출 등 사고 잦아
우리·NH농협 회장·행장 참석할까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다음 달로 예정된 상황에서 정무위원회는 가계부채 급증과 금융사 내부통제 부실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점쳐진다. /연합뉴스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다음 달로 예정된 상황에서 정무위원회는 가계부채 급증과 금융사 내부통제 부실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점쳐진다. /연합뉴스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다음 달로 예정된 상황에서 정무위원회는 가계부채 급증과 금융사 내부통제 부실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융지주의 거액의 부당대출과 횡령 사건 등이 비판받고 있어 지주 회장 등 고위 인사들의 증인 채택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24일 금융권과 국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는 오는 25일 국정감사계획서 채택을 위해 여야 간 논의를 진행 중이다. 여야는 이달 말까지 구체적인 일정과 증인·참고인 채택 여부를 놓고 협의할 예정이다. 한 의원실 관계자는 “각 의원실로부터 증인 신청을 받았지만 중복되거나 여야 간 합의가 필요한 부분들이 있어 최소 이번 주까지 정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국감에서는 폭증한 가계부채 문제와 금융당국의 정책 실패 논란이 거론될 전망이다. 정부와 은행권은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했지만 가계대출 둔화세는 뚜렷하지 않다. 8월 가계대출은 5대 은행에서만 9조원 넘게 늘어나면서 6월과 7월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9월에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도입이 예정돼 이달 부동산 구매 수요가 몰리면서 가계대출이 2021년 7월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앞서 18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내리자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상황에서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자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올해 금융권에서 연이어 발생한 대형 금융사고에 관한 질의도 예상된다. 특히 우리금융지주는 우리은행에서 100억원대 횡령 사고가 터지고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의 부당대출 혐의가 제기되는 등 겹악재를 맞았다. NH농협은행에서는 횡령 및 배임 의혹이 수면 위로 올랐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 회장이 국감 현장에 증인으로 출석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우리은행 조병규 행장, 손태승 전 회장, NH농협은행 이석용 행장 등이 증인으로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정무위 국감에서는 주요 금융 수장들이 증인 목록에서 제외되어 ‘맹탕 국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