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델피아·보스턴 연은 총재 “9월 인하 적절"
파월 의장 연설은 한국 시각 오후 11시로 예정
“변동성 동반 주가 상승, 단기 등락의 모멘텀"

22일(현지 시각)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여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구성원들이 9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이날 오후 예정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연설에서도 금리 인하 시그널이 나올지 주목된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연준이 "체계적으로 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사전에 충분히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도파로 평가되는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를 곧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콜린스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크게 둔화했고 경제 지표들이 우리가 물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며 노동시장도 전반적으로 건강하기 때문에 통화 완화를 조속히 개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사람들이 우리가 발표를 하기를 원하지만 사전에 정해진 인하 경로는 없다"고 덧붙였다.
반면 제프리 슈미트 캔자스시티 총재는 9월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이 긴축적이지만 과도하게 긴축적이지는 않다고 평가하며 경제 지표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슈미트 총재는 최근 몇 달간의 지표가 긍정적이지만 “2% 인플레이션 목표에 안정적으로 도달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커 총재, 콜린스 총재, 슈미트 총재는 모두 올해 FOMC에서 통화정책 결정에 투표권이 없는 상태다.
시장은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후 11시(현지 시각 오전 10시)로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조연설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시그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곽병열 리딩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시그널을 통한 통화정책 변경을 예고하면서 변동성을 동반한 주식시장의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지수 상승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2022년 초부터 지난해 7월까지 연준이 5%포인트 이상 금리를 인상한 데 따른 영향을 되돌아보고 향후 금리 인하 일정을 제시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물가 안정과 경기침체 공포 심리 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던 만큼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한다. 더 강한 모멘텀이 되기보다는 단기 등락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잭슨홀 미팅은 미국 연방은행인 켄자스시티 연방은행이 지난 1978년부터 매년 8월 개최하는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으로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와 경제전문가들이 와이오밍주의 시골 휴양지인 잭슨홀에 모여 경제정책 관련 의견을 나눈다. 주제는 그해의 경제 현안에 따라 정해지는데 올해 주제는 '통화정책의 실효성과 전달력 재평가'다. 연준 인사들은 잭슨홀 미팅을 통해 주요 통화정책 방향 변화를 알려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