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 투신했다가 변신한 'MB맨'
김 후보자, "노란봉투법 부작용 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 "노란봉투법은 학계에서나 전체적으로 상당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노사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후보자가 이러한 발언을 함에 따라 귀추가 주목된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31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우리 사회에 고용 노동계 현안이 산적해 있는 이 시점에 노동 현장과 입법부, 행정부를 두루 경험한 후보자야말로 다양한 구성원들 간의 대화를 바탕으로 노동 개혁 과제를 완수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 30대를 노동 현장에서 근로자의 권익 향상을 위해 치열하게 활동하는 데 보냈다. 그는 이후 보수 진영에 합류해 15·16·17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됐으며 두 차례 경기도지사를 역임했다. 이에 전형적인 'MB맨'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과거에 전광훈 목사 주도 태극기집회에도 참석한 적 있어 야당의 반발이 예상된다.
김 후보자는 최근에는 대통령 자문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지속 가능한 경제사회를 위한 노사정 간 사회적 대화와 협의를 이끌며 경제 활성화에 노력해 왔다.
그는 지명 이후 "노란봉투법은 학계에서나 전체적으로 상당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면서 "노란봉투법이 뜻하는 약자 하청업체 노동자 보호는 필요하지만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일방적으로 입법하면 부작용이 오히려 현재 부작용보다 클 수 있다"며 노란봉투법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후보자는 "부족한 점이 많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께서 저를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다"며 "부족한 만큼 한국노총을 비롯한 노동계와 경총을 비롯한 사용자단체, 국회와 노동 관련 학계, 언론계의 말씀을 늘 경청하겠다"고도 말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법치주의 노동 개혁은 지난 2년간 상당한 성과를 거두어 노사분규로 인한 노동 손실일수가 대폭 감소했다"면서도 "노동 개혁의 또 다른 과제인 노동 약자 보호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다. 5인 미만 사업장이나 영세 중소기업 미조직 노동자들도 결혼해서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소박한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적극 도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밖에 주일본대사에 박철희 국립외교원장, 주호주대사에 심승섭 전 해군 참모총장, 국립외교원장 후임에 최형찬 주네덜란드 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국회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일 이진숙 방통위원장 대한 탄핵소추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동관·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의 사례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앞서 두 전직 방통위원장은 민주당이 탄핵소추안을 올리면 먼저 사퇴했다. 방통위원장을 둘러싸고 연달아 각종 의혹과 탄핵, 사퇴가 반복되면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의 고용노동부 장관 지명을 두고 노동계의 반발이 예상됨에 따라 인사 논란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