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땐 '한국의희망' 변경 합의
당원투표 적용해 유지 65% 1위
양향자, 주변 사람에 서운함 표출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혁신당이 당원 투표를 통해 현재 당명을 유지하기로 26일 결정했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원들의 선택에 따라 개혁신당은 현재 당명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혁신당이 지난 24~25일 진행한 당명 개정 관련 투표에는 전체 당원 7만1447명 중 2만9204명이 참여했다. 이들 중 65.6%(1만9162명)가 '개혁신당' 당명에 찬성했다. '한국의희망'이 15.4%(4488명), 제3의 당명이 19%(5554명)였다.

허 대표는 "개혁신당은 지난 1월 한국의희망과 합당 당시 전당대회 절차를 통한 당명 변경을 합의한 바 있다"며 "이후 2월9일 다시 제3지대 통합신당 출범을 선언하면서 합의문 제1항에 '당명은 개혁신당으로 한다'고 결정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당원 투표는 당명 변경과 관련한 그간의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며 "개혁신당이 아직 6개월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2027년까지는 '개혁신당' 당명을 유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앞서 개혁신당은 지난 1월 이준석 의원이 이끌던 범보수 계열 개혁신당과 양향자 전 의원이 창당한 한국의희망이 합당한 정당이다. 합당 과정에서 양측은 총선 이후 5·19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한국의희망'으로 바꾸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준석 당시 대표가 '총선을 앞두고 이름이 자주 바뀌는 것은 좋지 않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새로운선택·원칙과 상식·새로운미래 등이 합류하면서 당내 세력이 혼잡해졌고 당명 교체 논의는 뒷순위로 밀렸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양향자 전 의원이 주변 사람에게 당명 변경 합의문을 손으로 가리키며 지켜지지 않은 것에 대해 서운함을 표출했다"고 전했다. 당시 이준석 대표에게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지만 납득할 만한 답을 듣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결국 양 전 의원은 지난달 27일 개혁신당 워크숍에서 허 대표에게 당명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 당명을 유지해도 괜찮지만, 공식 절차에 따라 당명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취지였다.

이번 개혁신당의 당명 투표로 인해 당원들의 이념 성향이 가려졌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초기엔 범보수와 범진보가 제3지대로 모였지만 시간이 흘러 이준석계가 주도권을 확실히 잡게 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허은아 대표는 "다른 의견을 제시해주신 당원 동지들의 견해 또한 존중하고 당무에 반영하도록 하겠다"며 열린 자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