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김 1위 동원F&B '양반김' 15% 인상
김 원초 가격 전년비 약 2배 상승
김 수출 수요 늘면서 국내 재고 감소

조미김 원재료인 원초 가격이 급등하면서 김 가격 도미노 인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CJ제일제당부터 광천김, 대천김, 성경식품이 이달 초 조미김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조미김 시장 1위인 동원F&B가 내달 1일부터 김 가격을 인상한다고 해 밥상 물가가 더욱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동원F&B가 6월 1일부터 양반김 전 제품의 가격을 평균 약 15% 인상한다.
주요 품목인 ‘양반 들기름김 (식탁 20봉)’은 9480원에서 1만980원으로 15.8%, ‘양반 참기름김 (식탁 9봉)’은 4780원에서 5480원으로 14.6% 판매가가 인상된다. 인상가는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 등 전 유통 채널에 적용된다.
조미김의 가공 전 원재료인 김 원초 가격은 전년 대비 약 2배 가량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작황이 부진해 공급은 줄어든 반면, K-푸드 인기로 글로벌 김 수요는 증가했기 때문이다.
동원F&B 관계자는 “원초 가격 급등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감내하기 어려워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CJ비비고 직화 들기름김'(5g 20봉), 'CJ 비비고 직화 참기름김'(4.5g 20봉) 가격을 8980원에서 9980원으로 1000원(11%) 인상, 'CJ 명가 재래김'(4g 16봉)은 5380원에서 6980원으로 1600원(30%) 올렸다.
김 전문 업체인 광천김과 대천김, 성경식품도 이달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10∼30%가량 인상했다.
실제로 일본과 중국의 원초 작황 부진 속에 한국 김 수출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국내 재고는 평년의 3분의 2 수준으로 감소하며 김 가격이 고공행진을 보이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마른김 도매가격은 지난 달 평균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80% 급등했다. 이에 한 속(100장)당 도매가격이 1만89원으로 1만원을 넘어선 것은 2004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이다. 전날 도매가격은 1만700원으로 1개월 전(1만440원) 대비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첫 분기 흑자' 컬리, 퀵커머스·뷰티·패션으로 외형 확장···상장 재시동 거나
- “치킨플레이션 본격화"···배달 치킨 3만원 시대에 냉동·마트 치킨에 눈 돌린다
- "3천원 화장품부터 쇠테리어까지"···'가성비 갑' 다이소, 연매출 4조 달성할까
- '알리·테무' C커머스, 발암물질 논란에 매출 40% '뚝'
- "농심 울고, 삼양·오뚜기 웃었다"···라면업계, 1분기 실적 '희비'
- "꼼수 가격 인상 속 역주행"···유통업계, '역 슈링크플레이션' 눈길
- 날씨 따라 '왔다 갔다' 여름 물가···장마철 폭우에 널뛰기 심해
- 소득 증가 폭보다 더 높은 먹거리 인상율···외식 말고 간편식 찾는다
- 대형마트 새벽배송 제한 규제 완화 움직임에···“환영 vs 사업성 미미”
- 쿠팡 'PB 밀어주기' 의혹에···오프라인 유통업계 '쿠팡과 선긋기'
- 홈플러스, 2년 연속 매출 성장세···지난해 영업손실 1994억원
- 대상, 베트남 제2공장 준공···K-푸드 외연 확장 박차
- 배민 포장주문 중개수수료 도입에 뿔난 점주···배달앱 출혈경쟁 못 버텼나
- "1020 입맛 잡아라"···라면업계, 여름맞이 용기면 전쟁 뜨거워진다
- 외식 물가 상승률, 3년 연속 소비자물가 웃돌아···2분기도 식품 물가 고공행진
- "무더위에도 스타일 살린다"···패션업계, 뜨거워지는 냉감 의류 전쟁
- 아워홈家 장녀 부부 경영 체제 돌입···매각 움직임에 내홍 격화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