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선도지구 선정계획 발표
주민동의율 높고 주차 불편 우선
오는 11월 최종 지정될 예정

1기 신도시(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서 재건축을 가장 먼저 추진할 선도지구로 올해 2만6000가구 이상이 지정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기도, 1기 신도시 5개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 선정계획'을 발표했다.
기준 물량은 분당 8000가구, 일산 6000가구, 평촌·중동·산본 각 4000가구 등 총 2만6000가구로 정해졌다. 여기에 지역 여건에 따라 각 지자체가 1∼2개 구역을 추가로 선정할 수 있다. 단 추가 선정 물량은 기준 물량의 50%를 넘으면 안 된다.
지자체가 물량을 최대치로 잡으면 분당 1만2000가구, 일산 9000가구, 평촌·중동·산본 각 6000가구 등 총 3만9000가구 규모의 선도지구 선정이 가능하다. 국토부는 올해 선정되는 선도지구 규모가 1기 신도시 정비 대상 주택 물량의 10∼15%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는 선도지구 선정에 활용할 '표준 평가기준'도 내놓았다. 재건축에 찬성하는 주민동의율이 높고 가구당 주차 대수가 적을수록, 여러 단지를 묶는 통합 재건축 규모가 클수록 선도지구로 선정될 가능성이 커진다.
통합 재건축에 찬성하는 주민이 95% 이상이면 주민 동의율 항목에서 만점인 60점을 받을 수 있다. 4개 단지 이상이 통합 재건축을 하고, 통합 재건축 가구 수가 1000가구 이상이면 각 항목에서 만점(10점)을 받는다.
지자체들은 국토부가 정한 세부 평가 기준과 배점을 지역 사정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주민 동의율 만점 기준을 95%에서 80%로 낮출 수도 있다는 뜻이다.
1기 신도시 각 지자체는 자신들이 세운 선정 기준을 담은 공모 지침을 다음 달 25일 공고하고, 선도지구 공모를 시작한다. 이후 9월에 선도지구 선정 제안서를 접수하고, 10월 평가를 거쳐 11월에 지자체가 선도지구를 최종 선정한다.
선도지구는 선정되는 즉시 특별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가 2025년 특별정비구역 지정, 2026년 관리처분계획 수립을 거친다. 2027년 착공, 2030년 입주가 목표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정비사업은 추진위원회 구성부터 조합 설립, 안전진단 등 사전 절차가 오래 걸려 통상 10년 정도가 걸린다"며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을 통해 사전 절차를 대폭 단축했기 때문에 2027년 첫 착공이 이뤄지면 건축 공사를 3년 내 마무리 해 2030년에는 입주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날 국토부는 원활한 이주를 지원하기 위한 이주대책도 공개했다. 선도지구 지정 후 정비사업이 본격화할 시 우려되는 전세시장 불안을 차단한다는 취지다. 이에 단계적·순차적 계획에 따라 정비시기를 분산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전세시장이 이주수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신도시 주변의 개발사업을 차질없이 관리할 계획이다. 전세시장 동향과 주택수급 동향 모니터링을 병행해 필요시 소규모 신규 공급도 확대한다.
관련기사
- 부동산 규제완화·재건축 기대감 찬물···與 입법 주도권 없는 후폭풍
- [국감] 재건축 부담금 부풀리기에 뿔난 與 "원희룡이 바로 잡아라" 왜?
- 올해 아파트 분양 5년만 최저 수준···30만 가구 밑돌아
- 내년 주택 매입 수요 3년래 최저···"가격 더 하락할 것 같아서"
- 평촌 역세권 내 대단지···DL이앤씨 센텀퍼스트 12월 분양
- 길 건너 '미도' 부러운 '은마'···늦어지는 재건축에 주민 '격앙'
- "재건축? 돈 있는 사람들 돈 잔치"···민주당이 법 개정에 신중한 이유
- '아파트 아파트' 재건축 부담금···초과이익 환수 폐지 논의 진통

